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5 08:19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사설
오피니언

[사설] 전북, 수소산업 ‘전문인력 양성’ 급하다

전북이 ‘그린수소 생산 1번지’라는 비전을 내걸고 수소산업 육성 계획을 야심차게 추진해왔다. 국내 최고 수준의 수소융복합산업 거점을 목표로 수소산업 육성 로드맵도 일찌감치 내놓았다. 미래 신성장 동력이자 지역의 미래 먹거리로 수소산업을 선정하고, 수소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중장기 계획을 수립한 것이다. 지난 2019년 전주시와 완주군이 국토교통부 ‘수소 시범도시’ 공모사업에 선정되면서 수소충전소 및 수소차 보급 등 수소산업 인프라 확충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했다. 또 정부가 완주군에 ‘수소특화 국가산단’을 조성하기로 하면서 전북의 수소산업 육성 계획도 한층 탄력을 받게 됐다.

하지만 전주·완주가 장밋빛 청사진처럼 수소도시, 수소산업 중심지로 거듭났다고 하기엔 아직 민망한 수준이다. 울산광역시와 안산시 등 다른 수소 시범도시에 비해서도 그 성과가 빈약하다.‘수소 중심지'로의 도약을 꿈꾸고 있지만 기업 집적도와 인프라, 전문 인력 등에서 여전히 구조적 한계가 뚜렷한 실정이다. 

미래 청정에너지로 주목받아온 수소가 에너지 안보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핵심 수단으로 부상하면서 세계 각국이 수소기술 및 산업 육성에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물론 우리 정부도 수소산업 육성 전략을 역점 추진하고 있고, 각 지자체에서도 수소도시 청사진을 속속 내놓고 있다. 치열한 ‘수소 경쟁’의 시대다. 전북이 국내 수소산업의 거점으로 발돋움하기 위해서는 아직도 갈 길이 멀다. 수소산업 생태계를 완성하기 위해 수소 생산 인프라 확충과 함께 배관망 연계, 저장·운송 기술 확보가 요구된다. 이와 함께 전문 인력 양성과 연구·개발, 기업 집적화 등 전방위적 노력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수소산업 분야 전문 인력 양성이 급하다. 우석대 연구에 따르면 전북지역 수소기업 종사자는 2125명으로 전국의 6.2% 수준에 그친다. 연구·개발사업은 비교적 활발하지만 전문 교육기관 부족으로 인력 공급 체계가 다른 지역에 비해 현저히 뒤쳐진 것이다. 실제 전북은 수소 관련 연구기관과 대학은 갖추고 있지만 전문 인력 양성 체계는 다른 지역에 비해 여전히 미흡하다. 지역 대학과 연계한 수소 전문학과 신설, 기업 연계형 실무교육 프로그램 확대 등이 급하다.

image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북 #수소산업 #전문인력 #양성
전북일보 opinion@jjan.kr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