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무더위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20일부터는 전북을 비롯한 내륙지방에도 장맛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됐다. 특히 올해는 장마 시작부터 호우경보가 내려질 정도로 강하고 많은 비가 쏟아질 것으로 예고돼 철저한 대비가 요구된다. 폭염과 폭우가 번갈아 이어지는 ‘극단적 여름’이 시작됐다. 기후변화로 인해 극한호우와 폭염 등 여름철 자연재해가 더 빈번해지고, 그로 인한 피해도 커지고 있다.
갈수록 다양화·대형화되는 자연재해로부터 시민의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기후재난에 대한 선제적 대비가 요구된다. 올해도 행정안전부 등 정부 부처와 각 지자체에서 여름철 재해예방 대책을 속속 내놓았다. 또 지자체와 관련 기관에서 여름철이 다가오면 연례행사로 재난 취약시설에 대한 안전점검을 실시한다. 하지만 이 같은 노력에도 관리·감독의 손길이 미치지 못하는 곳이 있어 종종 문제가 된다.
‘여름철 취약계층’에 대한 밀착 지원이 필요하다. 올여름에도 극한의 폭염과 폭우가 예고된 만큼, 고령자와 임신부·만성질환자·빈곤층·장애인·야외노동자 등 기후재난 취약계층의 건강하고 안전한 여름나기에 특별히 신경써야 할 것이다. 영농기, 논밭과 시설하우스에서 일해야 하는 고령의 농업인들도 걱정이다. 전주시가 폭염·폭우 등 기후재난에 대비한 ‘여름철 종합대책’을 본격 시행한다고 17일 밝혔다. 독거노인과 장애인, 기저질환자, 야외근로자, 농업인 등 폭염 취약계층을 위한 맞춤형 안전관리 대책도 포함됐다.
이처럼 정부 관련 부처와 지자체 등에서 여름철 기후재난으로부터 취약계층의 피해를 막기 위한 각종 대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안타까운 사고는 끊이지 않고 있다. 더 촘촘한 사회적 안전장치와 관심이 필요하다. 해마다 판에 박힌 대책만 내놓을 게 아니라 이 같은 대책이 제대로 운영되고 있는지 현장에서 수시로 점검해야 한다. 동시에 재난 대응 사각지대는 없는지 지속적으로 살피고, 보완해야 할 것이다. 농축산업과 수산업 분야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지자체의 세심한 안내와 지원도 요구된다. 우리 사회 취약계층, 그리고 농번기에도 활력을 찾지 못하고 있는 우리 농촌에서 기후재난으로 인한 안타까운 인명사고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도록 우리 사회 전체가 관심을 쏟아야 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