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4 22:11 (Tue)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사설
오피니언

[사설] 장마 끝 ‘극한 폭염’ 시작, 취약계층 피해 없도록

짧은 장마가 끝나면서 전국에 폭염특보가 이어지고 있다. 극한의 폭염과 폭우가 번갈아 이어지는 ‘극단적 여름’이 시작됐다. 덥고 습한 찜통더위가 계속되면서 온열질환자가 속출하고 있고, 열대야 현상으로 수면 부족을 호소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일찌감치 역대급 폭염이 예고된 올 여름, 일부 지역에서는 밤에도 기온이 30도 아래로 떨어지지 않는 초열대야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다. 그야말로 재앙이다. ‘폭염은 태풍·홍수보다 더 많은 사망자를 낳는 조용한 재난’이라고 했다.

그런데 극한 폭염과 폭우와 같은 기후위기는 모두에게 공평하지 않다. 사회적·환경적으로 취약한 고령자와 저소득층·장애인 등이 더 큰 피해를 입는다. 사회·경제적 약자와 주거 취약계층이 폭염과 같은 기후위기에 더 많이 노출되어 있는 것이다. 

‘폭염 취약계층’에 대한 지자체의 밀착 지원이 필요하다. 올 여름에도 극한의 폭염과 폭우가 예고된 만큼, 고령자와 임신부·만성질환자·빈곤층·장애인·야외노동자 등 폭염 취약계층의 건강하고 안전한 여름나기에 특별히 신경 써야 할 것이다. 특히 영농기, 논밭과 시설하우스에서 일해야 하는 고령의 농업인들이 걱정이다. 온열질환을 막기 위해서는 우선 농업인들이 스스로 단독 농작업 자제와 충분한 수분 섭취 등 안전사고 예방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촘촘한 사회적 안전장치가 필요하다. 물론 지금도 농림축산식품부를 비롯한 농업 관련 기관과 지자체 등에서 농업인 온열질환 피해 예방을 위한 안전대책을 수립해 추진하고 있다. 그런데도 사고는 계속되고 있다. ‘농사에는 다 때가 있다’며 농작업을 중단하지 못하고 뙤약볕 내리쬐는 논밭에 나온 고령의 농업인들이 쓰러지는 안타까운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더 촘촘한 대책과 철저한 점검이 요구된다. 해마다 판에 박힌 대책만 내놓을 게 아니라 이 같은 대책이 제대로 운영되고 있는지 현장에서 수시로 점검해야 한다. 동시에 재난 대응 사각지대는 없는지 지속적으로 살피고, 보완해야 할 것이다. 지역사회 폭염 취약계층, 그리고 농번기에도 활력을 찾지 못하고 있는 우리 농촌에서 여름철 기후 재난으로 인한 안타까운 인명사고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도록 우리 사회 전체가 관심을 쏟아야 한다.

image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폭염 #기후재난 #취약계층 #대책
전북일보 opinion@jjan.kr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