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가 지난 13일 이재명 정부의 국정 청사진인 ‘국정운영 5개년 계획’을 발표했다. 관심을 모은 새 정부 국정 청사진은 국가비전과 3대 국정원칙, 5대 국정목표, 123대 국정과제, 재정지원 계획, 입법 추진계획 등으로 구성됐다. 정부는 지역공약에 대해서도 지자체 의견 수렴과 관련 부처 검토를 거쳐 17개 시·도별 '7대 공약, 15대 추진과제'를 구체화했다. 향후 국가 균형성장 종합계획에도 지역공약을 반영해 체계적으로 관리한다는 계획이다.
정부 국정과제와 관련, 전북에서는 AI와 올림픽 유치, 금융특화도시, 농생명산업 육성 등 지역 현안 사업이 탄력을 받을 것이라는 기대 섞인 전망도 있지만,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이재명 정부의 국정과제는 AI 강국 도약, 에너지전환·금융혁신, 균형발전을 핵심축으로 설정했지만, 전북의 역점 사업은 새 정부의 정책기조와 제대로 부합하지 않거나 우선순위에서 밀릴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전북이 추진하는 RE100·피지컬 AI 등 일부는 국정과제와 방향이 맞지만, 전력망·입지·규제 특례 등이 동반돼야 하는 만큼 국정과제와 부합하는 사업을 중심으로 지자체 조직을 재편해서 대응력을 높여야 한다는 주문도 이어지고 있다.
어쨌든 국정과제를 통해 구체화된 정부의 국정철학과 연계해 전북 현안사업이 추진 동력을 얻을 수 있도록 적극 대응해야 한다. 이번에 정부가 발표한 국정과제는 정치와 경제·균형성장·사회·외교안보 등 5개 분야에서 대부분 그 틀과 방향성만 제시됐다. 이에 따라 전북은 이제 국정과제 세부 이행계획에 새만금과 피지컬 AI 등 지역 현안을 담아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됐다. 굵직한 지역 현안 사업에 추진 동력을 얻기 위해서는 앞으로의 대응이 중요해진 것이다.
우선 123개 국정과제를 면밀하게 분석해 선제적 대응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지역 연관 사업을 발굴하고, 세부 추진계획과 국비 확보 전략을 세워야 할 것이다. 아울러 ‘5극 3특’을 뼈대로 하는 정부의 균형성장 기조와 혁신경제 실현 전략에 맞춘 조직개편도 적극 검토해야 한다. 새 정부가 출범할 때마다 김칫국만 잔뜩 들이키고, 정권 말이면 허탈하게 정권을 원망하는 일이 더 이상 되풀이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