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06 18:38 (Thu)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사회 chevron_right 사건·사고

생후 45일 아들 던져 살해…왜 이런 비극이

부부싸움 중 아버지가 생후 45일 된 아들을 던져 숨지게 한 사건이 발생, 비정한 세태에 대한 탄식이 나오고 있다. 10일 전남 나주시와 나주경찰서에 따르면 살인 혐의로 구속된 A(42)씨 가구에서 지난달 지원받은 생계주거비는 124만 8천원이었다. A씨 가구는 지원 대상인 자녀 2명분 양육비로 월 25만원, 난방용 기름과 쌀 등도 때때로 지급받았다. 공적부조 체계상 최대치에 근접하는 지원을 받은 셈이다. 그러나 수급비 등은 입금되자마자 외상값 등으로 고스란히 나갔다. A씨 부부는 빠듯한 형편에도 초등학교 2학년에 올라가는 큰아들이 태어난 2006년부터 1~2년마다 한 명씩 모두 다섯 자녀를 낳았다. 가족 구성원은 늘어났지만 A씨는 부상 때문에, 아내는 양육 때문에 일하기 어려운 형편이었다. A씨는 2010년 오토바이 사고로 다리와 손가락을 제대로 쓰지 못했다. 나주시의 한 관계자는 "사례 관리 차원에서 가정을 방문하면서 취업 등을 권유했지만 적은 월급을 받았다가 오히려 기초생활 수급비를 못 받게 될 것을 우려했는 지 A씨는 근로 의욕이 없어 보였다"고 전했다. A씨는 경제적 문제로 아내와 자주 다퉜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설 연휴 전날인 지난달 29일에도 돈 1만원이 수입지출에서 차이가 난다며 아내와 말다툼을 벌이다가 모유를 먹는 아들을 홧김에 벽으로 던져 숨지게 한 것으로 조사됐다. 나주시의 한 관계자는 "A씨의 구속으로 세대주를 A씨 아내로 옮기고 영구임대 아파트 입주 신청도 해 두어 달 후 이사할 수 있을 것"이라며 "어린 자녀 등 남은 가족이 아픔을 딛고 일어설 수 있도록 관심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 사건·사고
  • 연합
  • 2014.02.10 23:02

"사료 값 없어"…김제 양계농 닭 2만마리 풀어놔

조류인플루엔자(AI) 여파로 토종닭을 출하하지 못한 한 양계농이 사료 값이 없다며 토종닭 2만여 마리를 농장 밖에 풀어놓았다. 10일 오전 9시께 전북 김제시 청하면에서 양계농장을 운영하는 김모씨는 사료 값이 없다며 키우던 닭 2만여 마리를 풀어놓았다. 김씨는 "사료 값을 지급하지 못해 오늘(10일)부터 사료회사에서 사료 공급을 중단했다"면서 "닭을 앉은 자리에서 죽게 할 수 없어 알아서 먹이를 구하라고 닭을 풀어놓았다"고 닭을 푼 이유를 설명했다. 토종닭의 경우 보통 6070일 사육한 뒤 출하하는 데 김씨의 농장에는 100일 이 상 된 닭도 상당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씨는 "AI 여파로 닭 소비가 줄어들면서 출하가 늦어져 닭이 성체로 자라 하루사료 값이 300400만원 정도 든다"면서 "사료회사에 지급할 사료 값이 몇천만원으로 불어났다. 더는 감당이 어렵고 회사를 탓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고 말했다. 사료회사 역시 양계농가가 어려움에 부닥치자 사료 값이 수금이 되지 않아 자금압박에 시달리고 있다. 양계업계의 한 관계자는 "사료 회사도 AI 여파로 양계농가들이 출하하지 못하자자금이 순환되지 않아 자금난에 시달리는 것 같다"면서 "사료 회사 사정도 있어 회사를 탓을 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고 말했다. 경찰의 한 관계자는 "다행히 닭이 적은 수만 농장 밖으로 나가 대부분 수습이 된 상태"라며 "사료회사 직원들과 농장주와 협조해 사태를 수습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찰과 사료회사 직원 등이 농가 주변에서 김씨가 풀어놓은 닭을 수습하고 있다.

  • 사건·사고
  • 연합
  • 2014.02.10 23:02

전소 차량서 남성 숨진채 발견

주말과 휴일 전북지역에서 각종 사고가 잇달아 발생, 3명이 숨졌다.지난 7일 낮 12시 10분께 전주시 우아동 한 야산 공터에 주차된 카니발 승용차량이 전소된 것을 인근 주민이 발견해 경찰에 신고했다.차량 안에는 신원을 알 수 없는 한 남성이 숨져 있었다.경찰과 소방은 이 남성의 신원과 정확한 화재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같은날 오전 7시 30분께 진안군 부귀면 한 양계농장에서 서모씨(73)가 쓰러져 있는 것을 동료가 발견해 119에 신고했다.서씨는 응급조치를 받으며, 인근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끝내 숨졌다. 서씨는 계사 청소작업 중 가슴 통증을 호소하며 쓰러진 것으로 알려졌다.앞서 지난 6일 오후 9시 40분께 정읍시 한 아파트 6층에서 김모씨(72)가 뛰어내려, 119에 의해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숨졌다. 이날 김씨는 자신의 아들과 대화 도중 담배를 피겠다며 아파트 베란다로 나간 후 두 아들과 아내가 보는 앞에서 스스로 뛰어내린 것으로 알려졌다.화재도 잇따랐다.9일 오전 9시 50분께 완주군 화산면 한 양계농장에서 불이 나, 닭 2만 7000마리가 불에 타 죽었다. 이 불은 또 계사 2개동 2760㎡을 태워 3억 7000만원 상당(소방서 추산)의 재산피해를 내고 40분 만에 진화됐다.지난 7일 오후 1시 50분께 김제시 죽산면 새만금매립지에서 불이 나 3시간 30여분만에 꺼졌다. 이 불은 갈대밭 9만 9000㎡을 태웠다.

  • 사건·사고
  • 최명국
  • 2014.02.10 23:02

AI가 앗아간 '귀농의 꿈'

조류인플루엔자(AI)의 여파로 닭을 출하하지 못한 50대 남성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 안타까운 사건이 발생했다. 특히 이 남성은 2년 전 고향으로 귀농해 치매를 앓고 있는 홀어머니를 모시면서 농장을 빌려 닭을 사육해 온 것으로 알려져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다.6일 김제경찰서에 따르면 이날 새벽 5시 20분께 김제시 금구면 봉모씨(52)의 집에서 봉씨가 제초제를 마시고 쓰러져 있는 것을 봉씨의 누나와 매형이 발견해 경찰에 신고했다.당시 봉씨는 인근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았으나 이날 오전 8시께 끝내 숨졌다.봉씨는 음독자살을 시도하기 전 서울에 사는 조카에게 전화를 걸어 할머니를 잘 부탁한다고 말했으며, 봉씨의 조카는 이 사실을 부안에 사는 봉씨의 누나에게 알린 것으로 전해졌다. 조사결과 봉씨는 AI 발생 이후 출하와 입식(병아리를 농장에 들이는 과정)을 하지 못해 고민을 해왔던 것으로 드러났다. 오랜 기간의 서울 생활을 접고 2년 전 이곳에 내려와 홀어머니를 모셔 온 봉씨는 농장주에게 연 1300만원을 주고, 토종닭 3만7000여 마리를 키운 것으로 알려졌다. 토종닭은 보통 입식을 한 뒤 60~70일이 지나면 출하해야 하지만 봉씨의 닭 중 일부는 80~90일을 넘긴 것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봉씨의 형은 동생이 며칠 전에 닭을 제때 출하하지 못해 망하게 생겼다며 하소연했다면서 최근 시장에서도 생닭 거래가 한동안 금지되면서 동생이 오랫동안 닭을 내다 팔지 못했다고 말했다.이처럼 AI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닭과 오리의 판로를 찾지 못하는 가금류 농가들은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 특히 정읍과 고창, 부안 등 AI 확진 판정을 받은 농가의 반경 3㎞ 이내의 닭오리 농가들은 입식과 출하를 못해 도산 위기에 처한 것으로 알려졌다.

  • 사건·사고
  • 강정원
  • 2014.02.07 23:02

AI가 할퀸 '귀농의 꿈"…극단 선택한 양계농

매서운 동장군이 전북 김제의 시골농가를 할퀴고 있었다. 봉모(53)씨는 2년 전 서울에서 귀향해 이곳 양계농장을 임대해 살았다. 비록 빌린 농장이지만 농가는 그의 보금자리이자 치매를 앓는 어머니의 요양원 같은 곳이었다. 그는 오랜 기간의 서울 생활을 접고 이곳에 내려와 홀어머니를 모시고 있었다. 미혼이었기에 어머니는 곁에 있는 유일한 혈육이었다. 한 달에 30만40만원의 고정적인 수입만 생긴다면 어머니를 요양원으로 모실 계획이었다. 이런 그가 돌이킬 수 없는 선택을 했다. 6일 새벽 농장은 깊은 침묵에 휩싸였다. 술에 취한 봉씨가 어머니가 보는 앞에서 농약을 들이킨 것. 그는 음독하기 전 서울에 사는 조카에게 전화를 걸어 "할머니를 잘 부탁한다"는 마지막 말을 남겼다. 봉씨 조카는 즉시 부안에 사는 봉씨 누나에게 이 사실을 알렸고, 누나와 매형이 병원으로 봉씨를 옮겼지만 끝내 숨을 거뒀다. 경찰 조사 결과 봉씨는 AI 발생 이후 토종닭 출하와 입식을 하지 못하자 심한 스트레스를 받아온 것으로 알려졌다. 봉씨 형(55)은 "동생이 '며칠 전에도 토종닭을 제때 출하하지 못해 망하게 생겼다'며 처지를 비관하는 말을 했다"면서 "전통시장에서도 생닭 거래가 금지되는 바람에 동생이 오랫동안 닭을 내다 팔지 못했다"고 비통해했다. 봉씨의 친구는 "생활형편이 넉넉하지 못한 그가 이번에 AI까지 터지자 무척 힘들어했다"면서 "게다가 지난달 말 농가 임대계약까지 만료돼 이곳을 떠날 처지였다"고 말했다. 봉씨는 농장주에게 연 1천300만원을 주고 닭 3만7천여 마리를 키운 것으로 알려졌다. 한 지인은 "쾌활한 성격은 아니었어도 주변 사람들과 어울리는 데는 문제가 없었다"며 "극단적인 선택을 할 만큼 힘들어하는 줄 몰랐다"며 눈시울을 붉혔다. 이렇게 효자 농민은 AI 여파를 넘지 못하고 고단한 삶을 극단적 방식으로 정리했다. 농가 곳곳에는 석회가루가 뿌려져 있었으며 어머니는 아직 비보를 모른 채 아들을 기다리고 있었다.

  • 사건·사고
  • 연합
  • 2014.02.06 23:02

김제서 양계농 AI로 토종닭 출하 못 해 자살

조류인플루엔자(AI) 차단 방역 등으로 23주가량 토종닭을 출하하지 못한 50대 축산농이 이를 비관, 음독자살했다. 6일 오전 5시께 전북 김제시 금구면 봉모(53)씨 집에서 봉씨가 제초제를 마시고자살을 시도했다. 봉씨는 음독자살을 시도하기 전 서울에 사는 조카에게 전화를 걸어 "할머니를 잘 부탁한다"는 말을 남겼다. 봉씨의 조카는 즉시 부안에 사는 봉씨의 누나에게 이 사실을 알렸고, 누나와 매형이 봉씨를 병원으로 옮겼지만 끝내 숨졌다. 조사 결과 봉씨는 김제에서 토종닭 3만5천여 마리를 기르는 양계농으로, AI 발생 이후 출하와 입식(병아리를 농장에 들이는 과정)을 하지 못해 고민을 해왔던 것으로 드러났다. 토종닭은 보통 입식을 한 뒤 60여 일이 지나면 출하해야 하지만 봉씨의 닭 중 일부는 100일을 넘긴 것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봉씨의 형(55)은 "동생이 '며칠 전에도 토종닭을 제때 출하하지 못해 망하게 생겼다'며 처지를 비관하는 말을 했다"면서 "재래시장에서도 생닭 거래가 금지되는 바람에 동생이 오랫동안 닭을 내다 팔지 못했다"고 밝혔다. 경찰의 한 관계자는 "봉씨는 어머니와 단둘이 생활하고 있으며, 유서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경찰은 현재 가족을 상대로 정확한 사고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

  • 사건·사고
  • 연합
  • 2014.02.06 23:02
사회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