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23 09:53 (Su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지역 chevron_right 완주

완주 로컬푸드, ‘농약 허용물질 목록관리제도’ 내년 본격 시행

로컬푸드 본산지 완주군이 농약 허용물질 목록관리제도(PLS)의 내년 본격 시행을 앞두고 잔류농약 분석 장비를 보강하고 나섰다. 잔류농약분석 장비와 분석요원을 크게 충원하고, 잔류농약분석 성분수도 320종으로 확대하는 등 국가기준과 동일한 수준으로 한층 강화된 시스템을 운영하고 나섰다. 18일 완주군 농업기술센터에 따르면 로컬푸드 인증농업인은 1036명이고 로컬푸드 판매장은 모악점 등 모두 12곳에 달한다. 로컬푸드 인증 농업인들이 생산 출하한 농산물은 지난 2012년 로컬푸드 개장 이래 판매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완주 로컬푸드는 전국 지자체 최대 모범사례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내년부터 농산물잔류농약 기준이 대폭 강화되기 때문에 철저한 대비가 요구돼 왔다. 이에따라 모든 생산자가 생산단계부터 농산물 안전 재배 관리 규칙을 지키도록 교육하고, 완주군이 철저한 분석을 통해 안전성을 확인, 인증서를 발급하는 시스템을 가동해 왔다. 지난해부터는 유통단계 잔류농약분석의 허점을 보완하기 위해 생산단계에서부터 농산물 안전성 관리를 더욱 강화하고 있으며 올해는 검사장비를 1대 더 추가, 모두 27종을 가동하고 있다. 완주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모든 농산물을 로컬푸드 판매장에 출하하기 전 미리 밭에 있는 농산물을 채취하여 잔류농약분석을 한 후 안전이 확인된 농산물만 출하하는 방식으로 전환하고 있다며 올들어 10월 현재까지 실시한 1,820점의 분석점수 중 60%가 생산단계일 만큼 농가 스스로 경각심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또 PLS제도 본격 시행에 따른 농가 피해를 막기 위해 교육을 강화하고 있으며, 농업인들도 그간의 잘못된 인식을 바꿔야 한다고 지적했다.

  • 완주
  • 김재호
  • 2018.10.18 16:04

현대자동차, 인천에 첫 수소충전소 짓는다

현대자동차(주)와 인천광역시가 18일 인천광역시청에서 수소전기차 보급 활성화와 수소충전 인프라 구축을 위한 상호협력 MOU를 체결, 첫 수소충전소를 짓기로 했다. 이날 이원희 현대자동차 대표이사 사장과 박남춘 인천광역시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된 체결식에서 현대자동차와 인천광역시는 미래혁신성장 주력산업인 수소 산업의 경쟁력 확보와 연관 산업의 육성 및 발전을 위해 수소전기차 인프라 확충에 함께 나서기로 했다. 이에따라 현대자동차는 연말까지 인천광역시에 수소충전소 1개소를 착공하여 내년 1분기 내 완공할 예정이며, 수소충전 인프라 구축과 수소전기차 대중화의 기반을 위해 인천광역시와 지속적으로 협력할 계획이다. 이에 인천광역시는 수소전기차 보조금 확대 편성 등 적극적인 행정적 지원을 약속했다. 특히 내년도 수소전기차 구매 보조금을 200대 규모로 예산을 편성해 본격적인 수소전기차 보급 활성화에 나서며, 나아가 2022년까지 수소충전소 8개소 구축 및 수소전기차 2,000대를 보급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한편 현대자동차는 내년 상반기까지 인천을 포함해 서울, 경기 지역에 수소충전소 6기를 구축하는 등 서울-인천-경기 수소 클러스터를 구축해 수소사회 구현을 앞당기는데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정부가 내년 수소전기차 보조금 예산을 2천대 규모로 확대 편성하는 등 수소전기차 보급 확대 의지를 보이는 것에 맞춰 수소전기차 생산에 더욱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현대차의 수소전기차 넥쏘가 1시간 동안 운행 시 정화하는 공기의 양 26.9kg은 성인(체중 64kg기준) 42.6명이 1시간 동안 소비할 수 있는 양이며, 넥쏘 10만대가 2시간을 주행(승용차 기준 하루 평균 운행시간)하면 성인 35만 5000명이 24시간 동안 마실 수 있는 공기를 정화하는 결과와 같다. 현대자동차 관계자는 궁극의 친환경차인 수소전기차의 보급 확대와 충전 인프라 확충을 위해 인천광역시와 MOU를 체결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현대자동차는 수소전기차 시장 확대 및 수소 생태계 조성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 완주
  • 김재호
  • 2018.10.18 16:03

완주군, 지역 먹거리 선순환 시스템 구축 나서

완주군의 먹거리 기본권 보장 시스템이 내년부터 본격 가동될 것으로 보인다. 농업농촌식품과 송이목 과장은 16일 브리핑을 통해 완주군민의 먹거리 보장 시스템 및 지역 먹거리 선순환 경제 시스템 구축을 위한 완주군 푸드플랜 수립 연구용역을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의뢰,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농촌경제연구원은 지난 6월부터 용역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내년 1월 중순 쯤 용역결과를 내놓을 예정이다. 이에 발맞춰 완주군은 먹거리위원회와 먹거리전략TF팀을 구성하고 완주군 먹거리 기본권 보장 조례 제정에 나섰다. 또 다음 달에는 먹거리정책 포럼, 완주군 먹거리 기본권 보장 선언 등을 통해 정책 의지를 확실히 할 예정이다. 송이목 과장은 농식품부의 지역푸드플랜 선도 지자체 공모사업에서 선정됨에 따라 국비와 군비 등 모두 1억5000만 원을 투입해 생산과 소비, 안전, 영양, 복지, 환경 등 다양한 먹거리 관련 이슈를 통합 관리하는 지역 내 먹거리 순환 종합전략을 수립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한편 완주군은 하반기 영농철을 앞두고 농촌마을 공동급식 사업비 1억3500여만 원을 투입해 모두 57개 마을에 지역에서 생산된 농산물을 부식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 완주
  • 김재호
  • 2018.10.16 15:21
지역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