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23 09:53 (Su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지역 chevron_right 완주

완주 로컬푸드 직매장 올해 매출 420억 예상

완주군에서 소규모 고령농가 농산물 판로 확대를 위해 추진한 로컬푸드 직매장 매출액이 매년 크게 신장하고 있어 농가소득 증대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완주군에 따르면 올들어 10월말까지 로컬푸드 직매장 6곳과 지역농협내 직매장 4곳 등 10곳의 매출액을 집계한 결과, 총 353억7686만원을 기록했다.이 같은 매출액은 지난 2013년 220억2700만원, 지난해 338억3000여만원을 초과한 것으로 연말까지 매출액이 420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매장별 매출액을 보면 용진농협 직매장 80억8000만원, 전주 효자동 직매장이 80억원, 구이 모악산 직매장 46억원, 고산농협 직매장 42억8900만원, 전주 하가 직매장 41억4100만원, 봉동 둔산 직매장 20억6600만원이다.특히 지난 2013년 문을 연 구이 모악산 직매장의 경우 개장 당시 매출액이 21억2600만원에서 지난해 47억6700만원, 올들어 10월말까지 46억원을 올리는 등 급신장세를 보이고 있다.고산농협내 직매장도 2013년 22억9100만원에서 지난해 38억6100만원, 올들어 42억8900만원 등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로컬푸드 참여농가수도 꾸준히 늘어나 지난 2013년 1876농가에서 2014년 2640농가, 올들어 3152농가로 증가했다. 이처럼 로컬푸드 직매장 매출액이 크게 늘어남에 따라 참여농가의 판매수익금도 늘어나 직매장별 중복 참여농가를 고려하면 농가당 평균 수익이 20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완주군에선 분석했다.이용렬 농업농촌정책과장은 로컬푸드 직매장이 도시 소비자들에게는 값싸고 안전한 농산물을 제공하고 완주지역의 소규모 고령농가들에게는 안정적인 소득증대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고 들고 앞으로도 로컬푸드 품질 유지와 가격경쟁력을 강화해 나가 완주군표 로컬푸드 신화가 지속되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 완주
  • 권순택
  • 2015.11.19 23:02

항일운동 '일문구의사' 추모

일문구의사선양사업회(회장 유희태)는 17일 제76회 순국선열의 날을 맞아 완주 비봉면 내월리 장승공원 일문구의사사적비에서 추모행사를 개최했다.이날 추모행사에는 박성일 완주군수와 이석 황실문화재단 총재 김영준 전주보훈지청장 조금숙 광복회 전북지부장과 유족 지역주민 등 1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아홉 의사의 항일운동 활동보고에 이어 헌화와 분향 추모사 헌시 추모의 노래 순으로 거행됐다.일문구의사(一門九義士)는 완주 비봉면 내월리 방곡 마을 집성촌에서 배출된 독립 유공자들로 유치복(애국장) 유태석(애족장) 유영석(애족장) 유명석(애족장) 유준석(애족장) 유현석(애족장) 유연청(애족장) 유연풍(애족장) 유연봉(애족장) 등 9명이다. 이들은 고흥 유씨 한 가문으로 의병활동에 나서는 등 항일운동을 펼쳐 모두 애국장과 애족장을 받아 우리나라 항일 운동사에 큰 족적을 남겼다.유희태 일문구의사선양사업회장은 1905년 을사늑약에 분개해 한 가문에서 아홉 명의 애국지사가 나서서 의병활동 등 항일운동에 헌신한 것은 국내에서 찾아보기 드문 기록이라며 이 추모행사가 단순히 한 가문만의 가족행사가 아니라 아홉 분 순국선열의 애국충정을 가슴깊이 새기고 후대들에게도 역사로 가르치는 선양사업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 완주
  • 권순택
  • 2015.11.18 23:02

후백제 유적지 완주 봉림사지 정비 보존사업 '완주학 프로젝트'로 본격 추진

완주군이 54년 만에 발굴조사에 나선 후백제 유적지인 완주 봉림사지에 대해 완주학 프로젝트를 통해 정비 보존사업을 추진한다.완주군에 따르면 지난 5월부터 발굴조사에 착수한 완주 봉림사지가 54년 만에 첫 윤곽을 드러낸 가운데 이번 발굴조사를 통해 고려시대의 기와편 청자편 등과 건물지 집석시설 등의 유구가 확인되어 구전으로만 전해지던 완주 봉림사지의 실체가 확인됨에 따라 본격 보존 정비작업에 나서기로 했다.군은 우선 기존 유물의 추정자리를 보존하고 봉림사지 정비를 위한 연차발굴조사에 나서는 한편 역사적 가치를 고려해 지정문화재 추진 등 유적지 보존에 만전을 기하기로 했다.군은 또 완주학 프로젝트사업을 통해 봉림사지의 체계적인 조사와 연차적인 정비계획을 진행할 방침이며 향후 역사 및 문화콘텐츠로 재조명사업을 추진해 지역의 정체성을 확립해나갈 계획이다. 10세기 후백제 시대 사찰로 추정되는 완주 봉림사지는 여러 석조문화재들이 잔존했지만 일제강점기에 일본인 지주 시마타니에 의해 강제 반출되어 석등(보물 제234호)과 오층석탑(보물 제276호)이 군산 발산초등학교로 옮겨졌고 1970년대 전북대학교 박물관으로 삼존석불상과 하대석이 옮겨지면서 그 터자리만 남아 있다.

  • 완주
  • 권순택
  • 2015.11.18 23:02
지역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