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8 16:57 (Sat)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문화 chevron_right 영화·연극
일반기사

[새영화] 그레고리 호블릿 감독의 '킬 위드 미'

소재 돋보인 IT시대 스릴러 내용은 뻔하고?

스릴러는 관객의 공포심을 자극하는 것이 주 목적인 만큼 시대상을 적절히 반영하면 현실감을 높여 제 효과를 낼 수 있다. 인터넷을 통한 강력 범죄를 그린 '킬 위드 미'는 소재만큼은 잘 고른 IT 시대의 스릴러다.

 

미국 연방수사국(FBI) 사이버 수사대의 제니퍼 마시 요원(다이앤 레인)은 애완동물을 서서히 죽이는 모습을 실시간으로 보여 주는 웹사이트 '킬 위드 미 닷컴'을 발견한다. 요원들은 사이트를 강제 폐쇄하려 하지만 범인은 계속 IP 주소를 바꾸고 복제 사이트를 만들어낸다.

 

급기야 범인은 사람을 잡아 가둔다. 제니퍼는 강력범죄 담당형사 에릭 박스(빌리 버크)와 함께 범인을 추적하지만 단서를 찾지 못한다. 범인은 많은 사람이 볼수록 피해자가 빨리 죽는다는 메시지를 띄운다. 그러나 참혹한 영상을 보려 하는 접속자는 급속히 늘어나고 피해자는 얼마 지나지 않아 죽는다.

 

범인은 곧바로 새로운 피해자를 잡아 오고 살인 도구를 바꾼다. FBI는 네티즌에게 사이트 접속을 중단해 달라고 요청하지만 접속자 수는 오히려 급증하고 두 번째 피해자도 죽음을 맞는다. 이어 범인은 제니퍼의 주변에 접근하기 시작한다.

 

영화는 자극적인 영상에 아무 생각 없이 빠져드는 광적인 네티즌의 비윤리성과 '나 하나쯤이야'라는 생각으로 잘못된 길로 몰려가는 군중 심리를 적절히 보여준다. 사이코 지능범의 범행 동기 역시 이런 주제와 일맥상통하니 효과적이다. 도덕불감증에 일침을 가한다는 메시지는 사이버 폭력에 대한 인식이 어느 정도 자리를 잡은 국내 관객에게 호소할 수 있을 듯하다. 그러나 영화는 신선한 소재를 택하고도 전개 과정에서는 기존의 전형적인 잔혹 스릴러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일단 범인을 절대로 추적할 수 없다는 전제가 깔려 있어 사건은 머리가 아니라 몸으로 해결된다. 말 그대로 정보기술을 활용해 영리하게 범인을 추적해 나가는 구성이면 더 좋았을 뻔했다. 추적 과정을 촘촘하게 짜기보다 범인의 엽기적인 범죄 행각을 보여주는 데 집중하다 보니 주인공의 파트너 형사가 왜 나오는지 알 수 없을 정도로 캐릭터는 허술해지고 화면에는 피가 마구 흘러넘쳐 시각적 부담감만 심해졌다.

 

그레고리 호블릿 감독은 앞서 '프라이멀 피어' '프리퀀시'를 만들었다.

 

청소년 관람 불가. 17일 개봉.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