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측 "군에서 농특자금 지원해주면 가능"
개인병원 유치로 가닥을 잡은 진안병원 건립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부지가 확보되는 내달 중순께면 매각절차 이행 등 모든 행정절차가 마무리되고, 늦어도 내년 봄이면 첫 삽을 뜰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런 가운데 진안병원 운영 주체인 전주병원 측이 병원 운영을 위한 세부적인 사업계획을 밝히면서 전주병원 진안분원 건립사업이 더욱 구체화되고 있다.
관건은 병원 건립에 필요한 초기 비용 60억원에 대해 진안군이 장기저리로 제때 알선해주느냐 여부다. 농특자금 지원없이는 병원 건립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전주병원 측의 완고한 입장 때문이다.
군이 전주병원 측의 이 같은 요구에 얼마나 충족하느냐에 따라 병원 건립이 탄력을 받냐, 아니면 그렇지 않냐가 결정된다는 얘기. 간과할 수 없는 협의절차에 양 측이 촉각을 곤두세우는 이유이기도 하다.
전주병원 김환래 상임이사는 27일 진안군청 브리핑룸을 찾은 자리에서 "진안분원 설립 의지는 확고하다"면서 "120병상 규모의 진안병원에 상시 배치될 전문의는 2명에 불과하지만, 군보건소에서 5명의 공중보건의를 지원받고, 본원 의료진을 수시로 파견하면 부족한 의료진은 채워질 것"이라고 했다.
그는 또한 "병원 건립비(110억) 중 최소 60억 이상은 대출을 받아야 할 처지이며, 보건복지부로 지원받는 농특자금에 대해 군이 저렴한 이자로 알선해줘야 병원 건립이 가능하다"고 요구안을 제시했다.
진안병원 건립이 현실화되면 진안의 유일한 종합병원인 동부병원이 경영난을 이기지 못해 휴업에 들어간 의료공백을 대신 메우면서 군민들의 의료환경은 크게 개선될 여지는 있다.
하지만 대규모 시설을 갖춘 대형 병원이 진안 고추시장 부지에 유치되면서 생겨날 지 모를 주변 소규모 의원 및 약국들은 물론 지역 장례식장의 공황상태가 불보듯 뻔하다는 점이 문제다.
실제 약국시장을 예로 들면 전주병원 상임이사가 Y약품 관계자여서 입원환자는 물론 외래환자의 조제약까지 독점할 개연성이 크다.
진안 모 약국 관계자는 "대형 병원이 유치되면 의료사각지대는 없어질 지는 모르지만 대형화 된 공룡 약국이 진안병원과 공생할 시, 겉잡을 수 없는 시장파괴가 이뤄지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