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8 04:23 (Sat)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경제 chevron_right 서비스·쇼핑
일반기사

전통시장 개선점 '아직도 수두룩'

원산지표시제·상인회 활동·쇼핑환경·방재시설 등 미흡

전북도 등의 전통시장 활성화 노력에도 불구하고 도내 전통시장은 아직도 개선해야 할 점이 매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부클럽 전주·전북지회가 지난 5월부터 8월까지 도내 전통시장 71개소에 대한 현황 및 실태를 조사한 결과 원산지표시제 정착과 상인회 활성화, 쇼핑 환경 개선, 방재시설 확충 등이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원산지표시제의 경우 광우병 수입쇠고기 파동으로 소비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데도 90%이상 원산지 표시가 돼있는 시장은 불과 12개소(16.9%)에 그친 반면, 원산지 표시가 50% 미만인 시장이 전체의 45.0%에 해당하는 32개소나 돼 먹을거리에 대한 신뢰성 제고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시장의 가장 큰 문제점의 하나로 지적되는 불친절 개선을 위한 친절교육 등을 실시할 수 있는 별도의 교육장을 갖춘 시장도 고작 16개소(22.5%)에 불과하고 시장 활성화를 주도할 상인회 조차 구성되지 않은 시장도 15개소(21.1%)나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쇼핑환경도 대폭적인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조명의 경우 밝기가 보통 미만인 시장이 26.9%나 돼 어둡고 침침한 분위기를 자아냈으며 위생 및 바닥청소 상태도 39.4%만 양호했을 뿐 나머지 시장은 보통 이하였다.

 

주차장까지 소비자가 구입한 물건을 배송하거나 시장 내에 배송업체가 있는 곳도 19개소(26.8)에 불과했고 화장실이 설치된 63개소 중 화장실 안내표시판이 없는 곳도 37개소(58.7%)나 됐다.

 

또한 전체 시장의 29.6%에 해당하는 21개소는 스프링쿨러는 물론이고 소화전이나 소화기 등 소방방재시설이 전무한 것으로 조사돼 화재 발생시 대형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현금영수증이나 신용카드결제가 가능한 시스템을 구비한 점포가 단 하나조차 없는 시장도 무려 52개소(73.2%)나 돼 전통시장 활성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주부클럽 전주·전북지회는 이같은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전통시장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상인회가 조직된 시장 집중지원 △시장별 여건에 맞는 특성화 △결제수단 다양화 △민관 거버넌스 구축 △ 공동상품권 활성화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기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강현규 kanghg@jjan.kr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경제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