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분야 10대 추진 과제 중 첫 과제
문화체육관광부는 소격동 기무사 부지를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으로 조성할 수 있게 된 데 따라 이곳과 함께 현재의 과천과 덕수궁 미술관 공간까지 활용해 국립미술관을 기능별로 나눠 삼각체제로 개편할 계획이다.
유인촌 문화부 장관은 15일 "과천 국립현대미술관이 도심 외곽에 있어 접근성 문제로 10여년 전부터 서울 이전을 검토했으나 실행에 옮기지 못했다"면서 "대통령께서 문화예술계 현안에 관심을 두고 국립현대미술관 조성계획을 직접 밝힌 만큼 주관부처로서 신속하게 사업에 착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미술품 감정제도 기초 마련, 미술인 복지 지원제도 도입 등 미술분야 10대 과제를 단계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기무사터 미술관 2012년 개관
현재 기무사 부지에는 전체 2만7천402㎡(8천303평)에 10개의 건물(연면적 3만4천490㎡)이 들어서있다.
이 중 1929년에 건립된 본관(4천933㎡)은 근대문화재로 지정된 건물이어서 원형을 살릴 계획이지만 나머지 부속 건물은 1970-1980년대에 지어진 만큼 예산 협의 및 설계 등을 따져 신축 등을 통해 미술관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유 장관은 "국내 건축계의 발전을 위해 이번 건축 설계는 국내 건축가들에게 우선 발주할 것"이라며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건립 추진을 계기로 기능별, 장르별, 권역별로 국립미술관이 발전해나가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무사 부지에 들어서는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은 세계적인 현대미술 트렌드에 부응하는 공간으로 운영하고 덕수궁 미술관은 한국의 근대 미술을 연구, 전시하는 국립근대미술관 기능으로 특화하며, 과천 국립현대미술관은 국가대표 미술관이자 미술작품 수집.연구와 미술교육의 본산으로 자리매김하도록 유도한다는 복안이다.
기무사터에 들어설 미술관은 올해 조성계획을 마무리한뒤 내년 기본 및 실시설계를 거쳐 2012년 개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부지 매입비는 올해 예산에 반영돼있는 200억원을 포함해 총 1천125억원에 달한다.
문화부는 이미 과천으로 이전한 기무사뿐 아니라 국군서울병원 건물도 미술관 부지로 활용하기 위해 관계부처와 협의해 나갈 계획이다.
신축 및 리모델링 비용은 설계와 예산 협의 과정이 남아있는 만큼 유동적이다. 또 당초 기무사터에 있던 종친부의 이전 복원 등도 아직 검토되지 않았다고 한다.
유 장관은 "기무사터의 본관을 제외한 나머지 건물은 새로 짓게 될 것"이라며 "미술관이 개관하면 매주말 예술가들이 축제처럼 장터도 열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화부는 기무사터 미술관이 인근 화랑가와 어울려 국가 상징 문화 콤플렉스로 조성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대해 지난 해 8월 말 '기무사에 미술관을 원하는 사람들의 모임' 창설을 주도했던 미술평론가 정준모 씨는 "수도 서울에 변변한 미술관조차 없었던 점을 비춰 볼 때 이제 국격에 맞는 기반을 갖출 수 있게 됐다"며 "국제적인 공간이 될 수 있도록 사회 각계가 힘을 합쳐야 한다"고 말했다.
◇미술 활성화 청사진
유 장관은 "기무사터 미술관 조성은 미술계의 창작의욕 고취와 미술시장 활성화를 위한 10대과제 중 첫 과제"라며 향후 펼쳐나갈 나머지 과제들도 소개했다.
여기에는 ▲국공사립 미술관 운영 활성화 ▲미술교육 활성화 ▲미술 전문인력 양성과 창작활동 지원 체계화 ▲미술시장 확대 및 유통 활성화 ▲미술품 감정제도 기초 마련 ▲공공기관 건축물 미술장식 및 공공미술제도 개선 ▲미술작품 공공보관소 건립 ▲미술가 복지지원제 도입 ▲미술품 기증 활성화를 위한 세제 정비 등이 포함돼 있다.
이미 복지지원을 위해서는 '문화예술인 공제회' 도입 방안이 본격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문화부는 지난해 '예술인 복지증진을 위한 공제제도 도입방안'에 대한 용역을 발주했으며 올해 법률화 검토 작업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유 장관은 "기무사터 미술관을 뺀 나머지 과제들에 대해서는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하나하나 구체화해 발표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