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9 08:46 (Su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문화 chevron_right 전시·공연
일반기사

[전시] 미술 전시 봄 맞아 기지개

미술 시장 침체와 맞물려 겨울 내내 뜸했던 미술 전시가 성수기인 봄철로 접어들면서 다시 활기를 보이고 있다.

 

3월에 개막하는 미술관과 화랑의 주요 전시를 정리했다.

 

◇대림미술관 '헨리 불 컬렉션'전

 

헨리 불은 미국의 사회사업가이자 미술 컬렉터다. 그는 미국 사진작가 알프레드 스티글리츠가 여성 화가 조지아 오키프의 손을 찍은 1920년작 '골무를 낀 손'을 1993년 구입한 이래 손을 주제로 다룬 사진 작품을 집중적으로 모았고 나중에는 손을 직간접적으로 다룬 조각도 컬렉션을 진행했다.

 

그래서 손을 찍은 사진이지만 그의 컬렉션을 통해 1840년대 윌리엄 헨리 폭스 탈보트의 사진부터 만 레이, 다이앤 아버스, 앤디 워홀, 낸 골딘, 마틴 파, 비토 아콘치, 안드레아 구르스키 등 현대까지 160여년간의 사진 역사를 살펴볼 수 있다.

 

대림미술관이 '헨리 불 컬렉션'전을 3월5일부터 5월24일까지 연다. 2006년 '리빙룸-컬렉션 1'을 시작으로 컬렉션을 다양한 각도에서 조명하기 위해 매년 한 차례씩 열어온 연례 기획전의 일환이다.

 

전시되는 사진 작품은 104명이 찍은 116점으로, 사진 속 손의 주인공도 시인 장 콕토, 조각가 헨리 무어, 재즈 음악가 마일스 데이비스, 테레사 수녀, 복싱 선수 루이스 조 등 유명인사에서 일반인까지 다양하다.

 

손이 전하는 다양한 감정 표현과 상징도 감상 포인트다. 예를 들면 앤디 워홀이나 비토 아콘치는 자신의 손을 찍어 '자화상'이라는 작품명을 붙였다. 로베르 두아노의 사진작품인 '피카소의 빵'은 식탁 위에 놓인 여러개의 빵이 앞에 앉은 피카소의 손처럼 보이게 하는 유머감각을 느낄 수 있다.

 

조각의 경우는 루이스 부르주아, 아네트 메사저, 파블로 피카소, 브루스 나우먼, 오귀스트 로댕, 서도호, 노상균 등 32명의 작품 32점으로 구성된다.

 

이 전시는 2004년 미국 뉴욕 구겐하임미술관에서 처음 열린 뒤 2006년 러시아 모스크바 현대미술관 등을 거쳐 아시아에서는 처음 열리는 것이다.

 

입장료는 2천-4천원. ☎02-720-0667.

 

◇토탈미술관.가인갤러리 '천경우'전

 

한국과 독일을 오가며 활동하는 사진작가 천경우(40)는 2007년부터 자신의 뿌리를 찾는 사적인 동기의 작업을 시작했다.

 

그는 자신의 성인 천(千)의 시조이자 임진왜란 당시 명나라 장군이었던 '천만리(千萬里)'의 고향인 중국 허난(河南)성 지역에 서 1천명의 천씨 성을 가진 사람들의 사진을 찍은 뒤 이를 인편과 우편을 통해 자신의 독일 작업실로 보내도록 했다.

 

그리고 이 사진을 모아 설치한 작품을 중심으로 지난해 스페인 현대미술관에서 'Thousands'라는 이름의 전시를 열었다.

 

평창동 토털미술관에서 이 전시가 3월 3-29일 열린다. 올해 여름에는 독일에서 순회전을 연다.

 

이번 전시에서는 1천명의 천씨 사람들 사진을 모은 설치작과 함께 고증을 거쳐 만든 천만리 장군의 당시 갑옷을 입은 사람을 찍은 사진 연작인 '1592', 영상작업인 '레드북' 등도 선보인다.

 

또 자신의 출신학교인 반포초등학교 학생들의 협조를 받아 신발 한쪽에는 불만을, 다른 한쪽에는 희망사항을 적게 해 설치한 '천개의 꿈, 천개의 불만'도 전시한다.

 

같은 기간 가인갤러리에서는 천경우의 '브리딩즈(BreaThings)' 연작 13점으로 꾸며지는 개인전이 열린다.

 

천경우 특유의 장시간 노출을 통해 흐릿하게 찍은 사진 연작으로, 누군가의 손과 팔이 들고 있는 책, 야구공, 장난감 등과 함께 흔들리듯 희미하게 찍힌 사진들이다.

 

☎02-394-3631.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