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당포럼서 주장 팽팽…'한지'만 특화도 문제…'정성 도시' 컨셉 필요
"한국스타일 특구 지정은 시기상조다.""문화적 관점으로 접근하는 한국스타일 특구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할 때다."
전주시가 전통문화 자산을 지역 발전과 국가경제 활성화로 연계시키기 위해 '한스타일 특구' 지정을 추진한다고 밝혀 문화계 안팎으로 논란이 뜨겁다. 시는 특구가 지정되면 역점사업인 '4대 문 복원 사업'등 다양한 사업의 국비 확보가 가능하다는 전망. 시는 한스타일 특구 지정 범위나 규모를 검토한 뒤 올해 안에 지식경제부에 특구 지정을 신청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19일 오후 7시30분 한옥마을 공간 봄에서 열린 '제79회 마당 수요포럼'. 이날 포럼에서 '한국스타일 특구 지정, 지역문화 살리기인가.'를 두고 서로 다른 두 관점이 팽팽하게 맞섰다.
정성엽 한옥마을공동체 사무국장은 "우선 특구 지정으로 인한 실익이 무엇인지 와닿질 않는다"며 "한국스타일과 관련해 전주의 인프라가 충분히 갖춰지지 않은 상태에서 궁극적으로 누가 혜택을 보느냐를 따져봐야 한다"고 꼬집었다.
사회를 맡은 이종민 전주문화재단 운영위원은 "문화관광부도, 전주시도 한국스타일에 관한 분명한 개념은 아직 없지만, 전통문화의 일상화, 세계화, 산업화라는 분명한 지향점을 놓고 봐야 한다"며 "산업적 경제 효과만을 두고 특구 지정을 논할 것이 아니라, 전주만의 자산을 충분히 살리는 문화적 관점의 특구를 고민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송민찬 전주시정발전연구소 연구원은 "한국스타일 특구에 관한 인프라는 갖추고 있지만, 지식경제부를 통한 장기적인 예산 지원이 이뤄지려면 산업을 연계시켜 가시적인 성과를 내야 한다"며 "하지만 특구 지정을 통해 전주가 선점했다는 홍보 효과를 가져가면서, 더 나은 대안을 찾아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스타일 특구 지정이 자칫 한지 특구로 비춰져서는 안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김남규 전주시의원은 "한지 특구가 아닌 한식, 한옥, 한소리를 모두 아우르는 한국스타일을 고민해야 한다"며 "순창 고추장, 고창 복분자, 부안 뽕과 젓갈, 김제 쌀 등 전북의 특산품만 놓고 보더라도 한지가 아닌 한식을 중심으로 한지, 한옥, 한소리 등을 엮어가는 한국스타일도 나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함한희 전북대 교수는 "한국스타일의 개념을 명확히 하면서, 거기에 철학을 집어넣었으면 좋겠다"며 "안동의 '배려의 도시'를 컨셉으로 잡았다면, 전주는 한옥이든 소리든 그 핵심이 정성이라는 점을 볼 때 '정성의 도시'로 컨셉을 잡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고 제안했다.
최희수 누리미디어 상무는 "전주가 한국스타일 특구를 내걸 때 다른 지자체와 어떤 차별성과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지 살펴야 할 때"라며 "한국스타일 산업이 가치중심의 성과를 내기 위한 초반의 취지에서 많이 벗어나 있는 만큼 그런 가치들을 아우르는 노력을 전주가 해나가면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