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남성의 흡연율이 6개월전보다 소폭 낮아지긴 했으나 여전히 세계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지난달말 전국의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3천명을 대상으로 올해 상반기 흡연실태를 조사한 결과 남성 흡연율이 42.6%로 작년 12월말보다 0.5% 포인트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7일 밝혔다.
남성 흡연율은 2008년 6월말 40.4%를 최저점으로 2008년 12월말 40.9%, 작년 6월말 41.1%, 작년 12월말 43.1%로 줄곧 상승해오다 다시 2년만에 처음으로 상승세가꺾였다.
하지만 통상 상반기의 흡연율은 실제보다 낮게 조사되는 경향이 있어 흡연인구의 감소세를 확인하기는 쉽지 않다. OECD 국가 평균치인 28.4%(2007년)와는 현격한 차이를 보인다.
특히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에 따른 2010년 흡연율 목표인 30%에도 크게 못 미치는 상황이어서 현재의 금연정책의 효율성에 대한 의구심도 커지고 있다.
조사결과 흡연자들이 처음 담배를 핀 때는 평균 21.2세였고 규칙적으로 흡연을 시작한 때는 22.1세였다. 담배를 처음 피운지 1년 이내에 곧 습관성 흡연으로 변하게 되는 셈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