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덕면 중촌 마을 축산분뇨로 전기 생산…시설재배 활용도
농촌진흥청은 정부가 추진하는 에너지 자립형 녹색마을로는 전국 최초로 김제시 공덕면 중촌마을에서 바이오가스를 이용, 전기 생산에 들어갔다고 지난 4일 밝혔다.
이날 농진청은 지난 2010년 부터 2013년까지 4년간 총 68억원을 투자, 추진하는 ‘자원순환형 녹색마을 실증사업’의 중간성과 보고회 및 발전식을 가졌다.
김제 중촌마을은 4000두 규모의 돼지농장 및 31가구가 모여 사는 작은 마을로, 지난해 과제응모에 참여한 연구팀에 의해 토지사용 승낙 등 주민 동의를 얻어 녹색마을 실증 대상마을로 선정됐다.
이번에 가동한 바이오가스발전시설은 지난해 12월 착공, 매일 600kW씩 1년간 총 200MW 정도의 전력을 생산하고 1000톤의 이산화탄소를 줄임으로써 연간 약 1억2000만원의 수익(호당 380원)을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된다.
또 발전할 때 발생하는 열과 이산화탄소, 퇴비, 액체비료는 온실과 논 등에 환원하여 작물재배에 활용함으로써 친환경농업 도입을 통한 농가소득 향상에도 도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자원순환형 녹색마을 실증 대상마을에는 친환경축사 관련 기술 및 바이오가스, 퇴·액비 생산기술(SCB-M), 온실과 GAP시설의 냉난방용 지열히트펌프, 유리온실 제어 및 양액재배 기술 등 농진청이 개발해 온 16개 녹색기술과 신품종(설갱벼, 유연보리)이 융합돼 투입된다.
박기훈 농진청 연구운영과장은 “여러 녹색마을 중 김제 중촌마을이 제일 먼저 가동에 들어간 것은 농진청 및 우석대, 김제시청, 주민 간 협의회를 구성, 여러가지 문제를 함께 해결해 나간 것이 주요 이유다”면서 “금번 축산분뇨로 만든 전기가 에너지 자립마을 조성에 희망의 빛이 되길 기대 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