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일찍 자고 3시쯤 일어난다. 일찍 일어나면 제일 먼저 신문을 본다. 나는 세 개의 종이신문을 본다. 지역신문 하나와 서울에서 나오는 신문 두 개를 본다. 우리 지역이슈나 각 지역 중점 사업과 지자체장들의 행동 범위를 체크한다. 서울에서 발행되는 두 개의 신문들을 사설까지 챙겨 읽는다. 칼럼이나 시론은 중요해서 거의 다 읽고 인터뷰 기사를 중요하게 챙겨 읽는다. 세 개의 신문을 다 읽고 나면 인터넷으로 들어가 중앙지들과 부산에서 발행되는 신문을 검색해서 헤드라인 기사와 칼럼, 사설을 챙기고 인터뷰 기사와 정치면을 반드시 읽는다. 연예면도 챙기고, 모 신문에 연재되는 시를 찾아 읽는다. 그리고 인터넷 신문 중에서 두 개의 신문을 읽는다. 그러다 보면 시간이 한 시간이 넘게 지난다. 인터뷰 기사 중에서 나는 오래 전부터 안철수 윤여준 김종인씨의 인터뷰를 꼭 찾아 읽었다. 인터넷 신문을 찾아 읽고, 네이버에 들어가 오늘의 철학, 그림, 사진, 문학, 인물 등 연재되는 기사들을 읽는다. 이렇게 신문을 읽다 보면 두 시간은 족히 넘게 걸린다. 균형 감각이 있는 칼럼이나 인터뷰 기사들은 다운을 받아 시 한편과 함께 아들·딸에게 보낸다. 토요일이면 신문들의 섹션을 찾아 인터뷰 기사나 칼럼을 찾아 읽는다. 중국에 대한 기획기사나 인도에 대한 경제 기사들을 탐독한다. 교육에 대한 기획기사들도 꼭 챙긴다. 현실을 놓치면 갈 방향을 찾지 못하고 사람들은 헛소리를 하거나 헛짓을 한다. 시대정신은 시대속에서 태어난다. 현실에 대한 인식은 피와 살과 뼈대가 된다. 이렇게 신문과 함께 아침을 산 지가 몇 십 년이다. 나의 공부는 신문이다. 신문은 그날 세계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종합 분석 해놓은 살아 있는 지식의 보고다. 펄펄 살아 있는 신문 속의 현실은 바다에서 갓 잡아 올린 생선과 같이 싱그럽다. 그게 쌓이면 보약이 된다. 큰 힘이 되어 현실에 충실하고 땅을 굳게 딛게 된다. 흔들리지 않은 현실에 대한 인식 위에 학문이든 정치든 교육이든 예술이든 뿌리를 내려야 한다. 우리가 사는 세상이 어디로 가고 있는지 모르면 폐쇄적이고, 독단적이고, 지역에 갇히게 된다. 우물 밖을 모르는 개구리가 된다. 그렇게 새벽을 보내다 보면 9시가 된다. 운동을 하고 강연을 간다. 강연일수는 학교 출근일과 거의 같다. 전국 곳곳의 지자체와 초중고, 대학, 도서관, 공무원들과 선생님들의 강연, 기업 강의를 간다. 그 곳들이 내 공부의 살벌한 현실이고 긴장된 현장이다. 세상이 다 내 책이다.
본지 편집위원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