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12 14:41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경제 chevron_right 산업·기업
일반기사

전력수급 초비상…사상 첫 긴급절전 '초읽기'

예비력 300만㎾ 붕괴시 400여개 업체에 요청…150만㎾ 감축

사상 최악의 전력 수급난이 예고된 12일 전력당국이 사상 처음으로 일반 기업체를 대상으로 '긴급절전'을 시행할지 주목된다.

 

전력수급 비상조치 매뉴얼상으로 긴급절전은 예비전력이 300만kW 미만으로 떨어져 '주의' 경보가 발령되면 상황 여하에 따라 시행할 수 있도록 돼 있다.

 

수요관리를 주관하는 한국전력은 전력수급 비상사태에 대비해 426개 업체와 긴급절전 계약을 맺었다.

 

 긴급절전으로 감축되는 전력은 150만kW에 달한다.

 

전력거래소 측이 긴급절전 지시를 하면 각 계약업체에 상주하는 한전의  수요관리요원이 협조를 요청하는 방식이다.

 

긴급절전제도는 2011년 9·15 전력대란 때도 비상조치 매뉴얼에 들어가  있었으나 당시 예비력이 갑작스레 20만kW까지 추락하면서 예고 없이 순환단전에 들어가 실제 시행되지는 않았다.

 

이날 불볕더위가 절정에 이르는 가운데 산업체가 점심시간을 끝나고 업무에  복귀하는 오후 1∼2시께 긴급절전 시행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전력거래소 수급 전망에 따르면 이 시간대 평균 예비력이 이날 최저 수준인 252만kW까지 떨어져 '주의' 경보가 발령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전 관계자는 "예비력이 300만kW 이하로 떨어진다고 해서 무조건 긴급절전에들어가는 것은 아니다"며 "긴급절전까지 가지 않도록 기존 상시·비상대책을 최대한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다만 "예비력이 떨어지는 속도가 예상 외로 빠르면 시행 시기가 다소 빨라질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전력당국은 이날 절전규제(230만kW), 산업체 조업조정(135만kW), 전압하향조정(70만kW) 등의 비상 수급관리를 통해 620만kW의 전력을 추가로 확보해 예비력을  200만kW 중후반대로 묶어둔다는 계획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경제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