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경제국 13개 중 6개 1년간 한번도 안열려 / 한옥보전심의위 제외 나머지도 1∼2회만 개최
전주시에 구성된 각종 위원회 운영이 형식적이라는 지적이다.
26일 진행된 행감특위에서는 전주시 문화경제국 내 13개의 위원회를 설치하고도 단 한 번도 위원회를 개최하지 않은 위원회의 문제점이 지적됐다.
기본적으로 위원회를 만들어 분기별로 위원회를 개최하는 관례를 볼 때 전주시 한옥보전심의위원회를 제외하곤 위원회 활동이 사실상 전무한 실정이다.
국주영은 의원(팔복, 조촌, 동산, 송천2동)은 “문화경제국에 13개의 위원회가 있지만 이 중 절반인 6개 위원회는 1년 동안 단 한 차례도 열리지 않았다”며 “특히 전라감영 복원 방향 설정 등 문화시설 운영, 노사정협력 방안 마련과 같이 상시로 위원회를 개최해야 하는 위원회도 열리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단 한 차례도 개최되지 않은 위원회는 전라감영, 전주부성4대문 복원 추진위원회와 전주시 문화시설 운영위원회,향토전통 음식심의회, 전주시 노사정협의회 ,전주시 지방 물가 대책위원회, 사회적기업 육성위원회 등이다.
또 전주시 문화의집 운영위원회와 유네스코 음식창의도시 운영위원회, 시립예술단 운영위원회 등은 한번 열렸다.
전주시 향토문화유산 심의위원회, 전주시 공공근로사업 추진위원회, 농어업·농어촌 및 식품산업 정책심의회 등은 단 두 번 개최됐다.
국주 의원은 “위원회 설치 및 운영은 조례에 따라 운영되고 있는데도 일부 위원회는 업무보고까지 이뤄진 위원회를 단 한 차례도 개최하지 않았다”면서 “적극적으로 위원회를 활용해 위원회 목적에 맞게 사업 등을 시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각종 운영회를 조례에 넣는 이유는 분야마다 그때그때 필요한 사항을 검토하고 심의하기 위한 것”이라며“운영위원회의 운영 활성화 방안을 찾지 않고서 사업이 잘될 것이라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문화경제국은 “규정에 따라 운영위원회 개최 횟수가 다르지만, 미미한 것만큼은 인정한다”며“활발한 운영을 위해 지도를 철저히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