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9 06:09 (Su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교육 chevron_right 대학
일반기사

[전북교육 희망 찾기] 전북대 총장 선출 방식 갑론을박

2012년 교수 총투표 거쳐 '직선제 폐지 결정' / 교수회 간선제 도입 반발 사실상 추동력 잃어 / 지역사회 "거점대학 위상 잊지 말아야" 지적

   
▲ 각종 평가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연구경쟁력과 위상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전북대학교 전경.
 

전북대가 최근들어 부쩍 자신감을 앞세우는 모습이다. 전북대의 연구경쟁력과 위상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영국 글로벌 대학평가기관인 QS(Quacquarelli Symonds)와 조선일보가 집계한 ‘2014 아시아 대학평가’에서 전년(97위)보다 무려 10계단 상승한 아시아 87위에 오르는 등 각종 대학평가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내부사정은 녹록지 않다. 오는 9월로 예정된 차기 총장선거를 앞두고 여전히 선출방식에 대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는 형편이다.

 

전북대 본부는 차기 총장선거와 관련해 공모제를 통한 간선제를 추진하고 있다. 이에 맞서 교수회가 딴지를 걸면서 파열음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전북대를 비롯한 39개 국립대의 총장 선거방식 논란은 지난 2012년 1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교육부는 ‘총장직선제가 대학내 파벌 갈등을 키우고, 무분별한 복지공약 남발로 인한 예산낭비 등의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며 총장직선제 폐지를 공식화했다.

 

이에 전북대는 2012년 7월 교수총투표를 실시, 53.4%의 찬성(투표율 93.8%)을 디딤돌 삼아 총장직선제 폐지 수순을 밟았다. 본부는 또 2012년 8월 총장임용후보자추천위가 차기 총장을 선출한다는 내용의 공모제를 학칙으로 개정했다.

   
▲ 지난 2012년 7월 24일 열린 전북대학교 총장직선제 찬반투표 개표작업 모습. 전북일보 자료사진

전북대 본부는 현재 총장임용후보자선정에 관한 규정과 시행규칙 제정을 마무리한 상태다. 시행규칙에는 ‘총장임용후보자추천위는 학내 구성원 36명(교수 31명·직원 4명·학생 1명으로 구성하고 교수위원의 경우 단과대별 인원비율에 따른 무작위 추첨)과 외부인사 12명(교수·직원 추천에 의한 무작위 추첨) 등 48명으로 구성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교수회 “간선제 강요는 헌법위반”

 

그러다 지난해 6월 교수회가 “교수수가 60~350명에 불과한 전주교대·군산대와 달리 1000명이 넘는 전북대에 간선제를 도입하는 것은 무리”라며 “총장선출방식에 대해 재논의가 필요하다”라고 주장하면서 사정이 달라졌다.

 

교수회는 지난해 11~12월 교수들을 대상으로 ‘총장직선제 부활’을 묻는 투표를 실시, 81.8%의 압도적인 찬성(유권자 988명중 716명 투표·찬성 586명)을 얻어냈다. 교수회는 뒤이어 지난 2월 총장임용후보자 선정에 관한 규정에 대해 전주지법에 집행정지 가처분 신청 및 무효확인소송을 제기했다. 더욱이 교수회 의결기구인 평의회는 지난달 14일 ‘대학본부와 별도로 직선제 선거를 진행한다’는 내용의 안건을 결의한 뒤 정기총회에 넘기는 초강수를 뒀다.

 

하지만 전주지법은 지난달 15일 교수회의 집행정지 가처분 신청을 각하하며 본부의 손을 들어줬다. 이와 함께 지난달 21일에 열린 교수회 정기총회에서도 ‘직선제 선거 반대’를 던진 유권자가 91명(유효투표수 170표)으로, 평의회의 결정을 무력화시켰다.

 

지난해 총장직선제 부활 투표를 통해 간선제 폐지에 대한 정당성을 확인했던 교수회로서는 정작 지난달 정기총회에서 교수들의 싸늘한 여론을 체감하며 추동력을 잃은 셈이 됐다.

 

교수회는 이에 아랑곳 하지 않고 총장직선제를 강행한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교수회 이왕휴 회장은 “교육부의 총장직선제 폐지 강요는 헌법위반이며 군사독재로 회귀하자는 것”이라며 “1988년이후 대학내 민주화 바람을 타고 처음 도입된 총장직선제를 이대로 잃을 순 없다”고 지적했다. 이왕휴 회장은 “법원의 본안소송에 대한 판단을 무작정 기다릴 수 없는 만큼 본부의 차기 총장 선출 절차와 별도로 교수회 차원의 직선제 총장선거를 실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지역거점대학 의무 충실해야

 

교수회의 문제제기에 대해 본부는 ‘수용불가’라고 못박고 있다. 전북대는 “정부가 재정지원사업과 총장직선제 개선을 연계하고 있는 상황에서 최대 2000억원 이상의 재정적 불이익을 감수하면서까지 전북대만 유일하게 직선제를 고수할 수는 없다”면서 “직선제 폐지로 시끄러운 다른 대학과 달리 전북대의 경우 2012년 교수총투표를 거친 만큼 법적 하자가 없다”고 강조했다.

 

전북대 관계자는 “차기 총장을 직선제 또는 직선제 요소가 담겨 있는 총장임용후보자 선정규정을 유지할 경우 △지방대학 특성화 사업 △교육역량강화사업 △학부교육선진화 선도대학사업 등 정부재정지원 사업에서 불이익을 당할 것이 뻔하고, 경쟁력 약화도 불가피할 것”이라는 입장이다.

 

지역사회도 교수회의 주장에 쓴소리를 내고 있다.

 

한 지역단체 관계자는 “가뜩이나 지역경제 위축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는 가운데서도 최근 전북대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그나마 도민들의 위안이 되고 있다”면서 “이제부터는 차기 총장으로 누가 적임자인가에 대한 논의를 시작해야할 때”라고 지적했다.

 

또다른 관계자는 “전북대가 지역거점대학이라는 본연의 의무에 충실해야 한다”면서 “전북대가 더이상 소모적인 논쟁을 접어야 한다”는 입장을 전했다.

 

● 차기 전북대 총장 입지자는

 

- 올 9월 선거 앞두고 자천타천 10명 거론

 

전북대 본부는 현재 총장임용후보자선정에 관한 규정과 시행규칙 제정을 마무리했다. 시행규칙에는 ‘총장임용후보자추천위는 학내 구성원 36명(교수 31명·직원 4명·학생 1명으로 구성하고 교수위원의 경우 단과대별 인원비율에 따른 무작위 추첨)과 외부인사 12명(교수·직원 추천에 의한 무작위 추첨) 등 48명으로 구성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와 별도로 교직원 35명이 참여하는 총장임용후보자선정관리위를 두기로 했다.

 

오는 9월로 예정된 차기 전북대 총장선거에는 김관우(독어독문학과), 김동원(산업정보시스템공학과), 김선희(의학전문대학원), 김세천(조경학과), 김영곤(의학전문대학원), 신형식(화학공학부), 양오봉(화학공학부), 이귀재(생명공학부), 이남호(목재응용과학과), 한길석 교수(경영학부) 등 10명이 자천타천으로 거론된다.

 

단과대별로는 공과대 3명, 농업생명과학대 2명, 의전원 2명, 상과대 1명, 인문대 1명, 환경생명자원대 1명 등이다. 거론되는 입지자들은 해당 분야에서 독보적인 학술적 성과를 내고 있고, 선후배들의 신망도 두텁다는 공통점이 있다.

 

상당수 입지자들은 수면위로 드러나지 않은 채 세불리기를 위한 정중동의 행보에 나서고 있으며, 선거가 다가올수록 합종연횡을 모색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한편 전국의 모든 국립대가 총장선정규정을 개정했으며, 지난 18일에는 충북대가 간선제를 통한 총장후보를 선정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진우 epicure@jjan.kr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