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7 05:24 (Fri)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사회 chevron_right 사회일반
일반기사

[전북 유기동물 보고서 (상) 보호·관리 어떻게 하나] 동물병원서 분산 수용·입양하려면 절차 복잡

도내 매년 3000마리 버려져 / 통합정보시스템·시설 없어 / 자치단체 예산 지원도 찔끔

▲ 행복한 동물병원 김창진 원장과 유기견 믹스견이 입을 맞추고 있다.

지난 10월 경기도 용인에서 발생한 '캣맘(길고양이를 돌보는 사람)' 사망사건을 계기로 유기동물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전북지역에서도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유기동물 또한 늘어나고 있다. / 전북에서는 매년 3000마리 이상의 유기동물이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기초적인 유기동물 보호·관리시설 조차 제대로 마련돼 있지 않다. 전북지역 유기동물 보호·관리 현장의 실태와 문제점, 개선방안 등을 3차례에 걸쳐 짚어본다.

 

#1. 지난 24일 오전 10시 전주시 인후동 H동물병원. 교통사고로 다리가 부러진 유기견 ‘진순이’의 상태를 살펴보던 김창진(47)원장의 휴대전화가 울렸다. 천변에서 유기동물을 발견했으니 빨리 처리해달라는 전화다. 전주지역 유기동물 보호 병원 중 한 곳을 운영하는 김 원장의 휴대전화는 쉴 틈이 없다. 꼭두새벽부터 늦은 밤까지 유기동물을 발견했다는 신고가 하루에도 수십 통 씩 걸려온다.

 

‘왜 이리 늦느냐’는 재촉전화는 양반 축에 속한다. ‘공무원이 왜 이렇게 민원처리가 늦냐’는 지적도 다반사다.

 

김 원장은 주섬주섬 응급의료도구와 이동 케이지(동물 운반용 도구)를 챙겨들고 일을 도와주는 친구와 함께 병원을 나섰다.

 

김 원장은 “주인에게 버림받거나 상처받은 동물들이다. 애완견을 키워보려는 생각으로 병원을 찾아오는 사람이 한 두명이 아니지만 실제 입양으로 이어지는 일은 드물다”고 말했다.

 

전주시내서 발생하는 강아지와 고양이 등 유기동물을 수용하는 동물병원은 10곳에 이른다. 이들 동물병원은 거의 포화상태다. 김 원장의 동물병원에도 유기된 개와 고양이가 20마리가 넘는다.

 

지방자치단체에서 관리비용을 예산으로 대주기는 하지만 치료와 관리 비용으로는 턱없이 부족하다. 그는 ‘돈이 돼서 그 일을 하는 것 아니냐’며 오해하는 사람들을 마주하면 속상하다고 하소연했다.

 

유기동물의 부상이 너무 심하거나 보호기간이 지나면 안락사 대상이 된다. 그러나 도내 대부분의 보호소에서 안락사는 잘 이뤄지지 않는다. 보호기간이 지나서까지 관리를 해주고 있는 까닭이다.

 

김 원장은 “사실상 아이들(유기동물)을 위해 봉사한다는 생각으로 일을 하고 있다”며 “이 세상에서 우리에게 까지 버림받으면 그 아이들은 더 이상 삶의 의미가 없는데 어떻게 하느냐”고 되물었다. 병원에 온지 5개월 된 유기견 ‘향기’는 벌써 수차례 파양이 돼서 병원으로 되돌아왔다. 사나운 성격 때문이지만 김 원장에게 짖어대는 향기를 보고 그는 환하게 웃었다.

 

#2. 서울에 살다가 3년 전 결혼과 함께 전주에 정착한 염모(35·여)씨는 첫 아이를 갖기 전 타지에서의 외로운 생활을 달래기 위해 고양이를 입양했던 때가 기억에 남는다고 했다.

 

서울에서는 통합적인 유기동물 보호소가 있어서 언제든 연락처만 남기면 주인 잃은 동물을 입양할 수 있지만 전북에서는 입양하는 절차조차 힘들었다. 인터넷 등 이곳저곳 정보를 알아보다 전북은 독특하게도 전주시내 동물병원 곳곳에 유기동물들을 분산수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가끔씩 전북도청에서 열리는 유기동물 입양의 날 행사에 전화번호도 남겼지만 결국 연락은 없었다.

 

결국 고민 끝에 염씨는 고등학생이 만들었다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북지역 내 유기동물 정보를 알았고 직접 전화한 뒤 동물병원을 찾아가 고양이를 입양했다.

 

그 앱은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 최소한의 정보만 주는 것보다 더 보기 편하고 자연스러웠다. 자연사 한 동물사진 옆 검은 바탕에 조그마한 국화 한송이가 있는 이모티콘을 보고는 자기도 모르게 울컥한 적도 있다. 염씨는 “동물병원도 전문적이긴 하지만 유기동물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입양 등 절차가 통합적으로 운영되는 시스템이 전북에는 부족한 것 같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백세종 bell103@jjan.kr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사회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