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실 등 모든 전시실 25년만에 새롭게 단장 / 혁신도시 출토품 등 도내 청동기 유물 첫 전시
국립전주박물관(관장 유병하)이 새로운 전시실과 유물로 관람객을 맞는다.
지난 1990년 개관한 박물관이 25년 만에 모든 전시실을 새단장했다. 시설이 노후화 되고, 연구·답사를 통한 유물이 꾸준히 발굴되면서 이를 전시하고 보관할 최신의 전시실이 필요했다. 2012년 기획전시실, 2013년 역사실, 2014년 미술실과 어린이박물관, 2015년 고고실을 마지막으로 4년간의 개편을 완료했다.
지난 6일부터 시민에게 개방한 고고실은 벽면에 전시장을 꾸리며 한정된 공간을 최대로 활용, 기존 전시품의 두 배가 넘는 2000여 점을 선보인다. 또한 조명, 벽체, 바닥 등을 밝은 느낌의 원목과 흰색으로 교체해 관람객들이 유물을 자세히 관찰하고 편안하게 즐길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했다.
고고실 전시는 ‘전북 선사문화의 시작’, ‘고대국가로의 도약’, ‘마한에서 백제로’, ‘고대국가의 완충지 전북’, ‘백제의 부흥 그리고 후백제’등 5개 주제로 구성된다. 전북에 사람이 살기 시작하면서 고유의 역사와 문화를 만들고 외부세력에 대응하며 어떻게 변화와 혁신을 이뤘는지에 집중했다.
주목할 부분은 국내 최대 청동기 출토지인 완주 혁신도시 출토품을 비롯해 완주 갈동과 신풍유적 등 도내 청동기 유적지를 조명했다. 이들 유적은 그동안 금강 일대로 추정됐던 고조선 준왕(準王)의 남천지를 새롭게 검토할 수 있는 자료로 평가 받는다. 완형의 거울과 일부러 깨뜨려 넣은 청동기를 통해 그 당시 고도화된 기술력과 고대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힘이 전북지역에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고창 봉덕리 분구묘(墳丘墓)에서 출토된 금동신발, 유공장식호, 중국제 청자사이호, 장식대도, 동제탁잔 등은 2009년 발굴 이후 처음으로 공개된다.
미술실은 공예품 중심으로 새롭게 전시한다. ‘부처를 위한 공덕’, ‘하늘과 바다를 품은 그릇’, ‘나무와 종이의 향기’ 등 3가지 주제로 나눈 전시는 사리장엄구, 불상, 의식구, 범음구 등 불교미술과 초기청자, 부안청자, 분청사기 등 특색 있는 전북의 도자공예를 소개한다. 또한 목칠, 한지공예품, 부채 등을 통해 전주의 특화된 공예품을 강조한다.
전주는 조선 왕실의 본향이자 전라도 감영소재지라는 역사적 의미를 갖고 있으며, 공예와 출판문화가 발달한 문화예술의 중심지였다. 역사실은 이러한 지역의 문화적 역량을 살펴볼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선 왕실과 관련된 유물, 각종 목공예품, 고서적이 전시된다. 특히 10폭 병풍 ‘완산부지도’(보물 제1876호)를 통해서는 전주의 옛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석전의 친필 서예, 수집한 옛 책, 편지 등을 담은 석전기념실은 진열장 내부를 LED조명으로 교체하고 벽체 도색, 바닥 교체를 하는 등 차분한 분위기를 조성했다.
어린이박물관은 기존의 체험학습실을 어린이 발달 특성에 맞는 체험공간으로 재단장했다. 조선 왕실 문화를 주제로 한 왕세자의 길, 나는 조선의 왕이로소이다, 왕실의 멋과 맛, 조선왕실과 전주 등 모두 4가지 주제의 체험영역으로 구성돼 있다.
장제근 학예연구사는 “청동거울 등 역사·예술·학문적 가치가 있는 전시 유물에 대해서는 국가지정문화재 신청을 추진할 예정”이라며, “올해 상반기에 박물관 시설 전반의 개보수를 마무리하고 전북지역의 대표 박물관으로서 지역민과 함께 하는 열린 문화공간이 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