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레이드·군민 대합창 등 600년 잔치 성료 / 새로운 미래 천년 비전 제시 군민 의지 결집
부안군은 부안 정명 600주년을 맞아 군민들의 자긍심을 높이고 새로운 미래 천년의 비전 제시를 위한 부안 정명 600주년 기념행사 ‘600년만의 잔치’를 지난 28일 오후 5시 부안군청 광장 특설무대에서 성대하게 개최했다.
기념행사는 부안 정명 600주년 기념 동학농민혁명 학술대회와 식전행사, 공식행사, 600군민 대합창 등으로 진행됐다.
이날 열린 동학농민혁명 학술대회는 ‘부안의 동학사상과 동학농민혁명’을 주제로 신영우 충북대 명예교수의 기조강연에 이어 윤석산 한양대 명예교수, 김철배 임실군청 학예연구사, 노용필 한국사학연구소장, 임형진 경희대 교수 등이 동학농민혁명에 대해 발표했다.
이어 신영우 충북대 명예교수를 좌장으로 김순필 느티나무 서원 대표, 이병규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연구부장, 최인경 최보따리 인문포럼 대표 등이 종합 토론을 가졌다.
학술대회에서는 동학농민혁명이 우리 역사상 처음으로 민주주의와 민족의 자주를 표방한 민중봉기였던 만큼 부안 정명 600주년을 맞아 이 숭고한 조상들의 얼과 성스러운 충정을 길이 빛내고 부안 군민의 희망과 정신을 재조명하였다.
식전행사는 길놀이(부안군립 농악단 어울마당)와 부안 600주년의 정신, 잉걸불(천년의 불꽃) 퍼레이드, 어울림한마당(군립농악단+읍면 농악단), 천년의 불꽃 성화, 오프닝 대북공연 등이 펼쳐졌다.
부안 600년의 정신, 잉걸불(천년의 불꽃) 퍼레이드는 고려시대 부령현과 보안현으로 나눴다가 1416년 완전한 부안현 탄생을 재현하고 부안 600년의 정신을 잉걸불(꺼지지 않는 천년의 불꽃)로 표현했다.
퍼레이드는 부령현(부안상설시장 출발)과 보안현(부안해경서 출발)으로 나뉜 퍼레이드단이 군청 광장에서 만나 두 현감이 성화대에 점화를 하면서 종료됐다.
공식행사는 개식통고와 미디어 퍼포먼스, 서예퍼포먼스, 비전선포식, 성악4중창 등으로 부안 정명 600주년의 의미를 되새겼다.
비전선포식에서는 주요 내빈과 600돌이(부안 정명 600주년이 되는 10월 30일 생일 6살 아이) 등 총 18명이 ‘6만 행복도시’, ‘600만 관광도시’, ‘부래만복(扶來滿福·부안에 오면 오복을 가득 받을 수 있다)’ 구호를 외치며 부안의 미래 비전을 선포했다.
부안군은 고려시대 부령현과 보안현으로 나눠 불리다가 지난 1414년 최초로 부안현이 등장했지만 이후 부령·보안이 두 차례 더 통폐합을 거치면서 1416년 10월(조선왕조실록)부터 완전한 ‘부안’이라는 명칭을 사용해 오고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