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37.8%…1년 만에 6.7%포인트 올라
주식시장의 모바일 거래 비중이 가파르게 상승해 지난달엔 40%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증권사들이 비대면 계좌개설 등으로 모바일 거래 고객을 꾸준하게 확보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 주식거래에서 월평균 모바일 트레이딩 시스템(MTS) 거래 비중은 4월 37.8%에 달했다.
이 비중은 2월 33.5%, 3월 34.6% 등으로 증가세가 뚜렷하다.
모바일 거래 비중은 1년 전과 비교하면 차이가 확연히 드러난다.
작년에는 1∼2월까지 이 비중이 각각 28.8%, 28.9%로 30%를 밑돌았고 3월(30.3%)에야 처음으로 30%를 넘어섰다.
작년 4월에도 모바일거래 비중은 31.1%에 그쳤다. 1년 만에 6.7%포인트나 증가한 셈이다.
모바일 주식거래는 국내에 스마트폰이 대중화하기 시작한 2009년에는 연평균 2.
4%에 그쳤다. 2010년만 해도 3.5% 정도이던 이 비중은 2011년 8.5%, 2012년 15%, 2013년 19.3%, 2014년 21.5%, 2015년 27.3% 등으로 빠르게 성장해왔다.
개인 투자자 비중이 높은 코스닥시장에서는 모바일 거래가 더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28일 현재 코스닥시장 4월 평균 모바일거래 비중은 39.3%의 역대 최고치로, 40%에 근접했다.
올 1월 37.5%, 2월 39.8%, 3월 39.5% 등으로 상승 추세가 완연하다.
이런 현상은 증권사들이 지난해 비대면 계좌개설 서비스를 도입하면서 경쟁적으로 무료 수수료 이벤트로 가입자를 유치한 데 따른 영향으로 보인다.
MTS의 진화로 갈수록 모바일 서비스가 이용하기 쉬워진다는 점도 거래가 급증하는 이유로 꼽힌다.
증권업계 한 관계자는 “앞으로도 모바일을 이용한 주식거래는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