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8 20:54 (Sat)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사회 chevron_right 날씨
일반기사

"집에 물 들어오면 차단기부터 내려야"

한반도가 제19호 태풍 ‘솔릭’의 직접적인 영향권에 들자 한국전기안전공사는 23일 침수와 누전에 따른 감전사고 예방과 대처법을 안내했다.

우선 건물이나 주택 안팎에 노출된 전선의 피복 상태를 확인해보는 것이 좋다.

벗겨지거나 오래된 전선은 미리 교체한다. 하지만 이미 침수됐거나 비가 오는 상황이라면 절대로 전선에 접근하거나 손을 대서는 안 된다.

태풍이 왔을 때는 가능한 한 집 밖을 나서지 않는 것이 안전하다.

꼭 외출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거리에 놓은 맨홀 뚜껑이나 전신주, 가로등, 옥외광고물 주변을 피해서 다녀야 한다.

비바람이 불어 전신주나 가로등이 넘어졌다면 절대 가까이 가지 말고 즉시 소방청(119)이나 한국전력(123), 전기안전공사(1588-7500)로 신고한다.

침수가 예상될 때는 가장 먼저 누전차단기부터 내린다.

이때 가전제품 플러그도 함께 뽑아놓되 반드시 마른 천이나 고무장갑을 사용해 뺀다.

물이 빠진 후에라도 바로 누전차단기를 올려 전기를 쓰는 것은 위험하다.

물기가 남아있는 상태에서 사용하면 2차 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

물에 잠겼던 가전기기는 재사용을 하기 전 제품판매사 에스터서비스(A/S) 센터나 전기공사 업체에 점검을 맡긴 후 사용하도록 한다.

감전으로 인한 인명사고가 일어나면 즉시 차단기를 내린 다음 주변에 고무장갑이나 목재 등 절연체를 이용해 피해자를 전선, 도체로부터 떼어 놓는다.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것이 확인되면 피해자를 안전한 장소로 옮겨 의식, 호흡, 맥박 상태를 살핀 후 구급대원이 올 때까지 심폐소생술 등 응급조치를 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사회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