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교통·컨벤션 등 담은 정주여건 개선안 제출
정부 ‘혁신도시 발전안’에 포함됐지만 예산엔 미반영
전북혁신도시 기관들도 필요성 공감… “예산 확보 노력”
국민연금공단과 전주시 등이 전주 금융타운 조성을 위한 대규모 인프라 구축 사업을 정부 혁신도시 발전방안에 포함시켰지만, 정작 예산 반영이 안 돼 무산될 위기다.
이는 권역별 혁신도시 발전방안 과제에서 전북 몫으로 마련된 기회인만큼, 금융중심지에 걸맞은 정주 여건 개선 기회를 놓치지 않도록 국민연금공단·전주시의 적극적인 의지와 정치권의 관심이 요구된다.
2일 공단·전주시 등에 따르면 국민연금공단은 기획재정부에 693억 원 규모의 스마트비즈니스 복합센터 건립이 포함된 사업계획안을 제출했다.
이는 정부의 ‘공공기관 선도 혁신도시 발전방안 10대 협업과제 선정사업’에 따른 것이다. 국민연금공단이 전북권 선도 공공기관으로 주도해 전북도·전주시·도내 대학 등과 함께 지역상생 활성화 사업들을 발굴, 사업계획안을 제출했다.
심사 결과, 전북권에는 전주 혁신도시 내 자산운용 중심 금융산업 육성을 목표로 △국민연금 데이터를 활용해 민간기업·지자체에 분석자료를 제공하는 빅데이터 포털시스템 구축 △비즈니스 공간과 복합 환승장·여행자 센터 등 정주인프라 구축 △이전 기업 인센티브 부여 △금융 전문 인력 양성 등이 지원되기로 했다.
이중 시설·부지 확보 등 예산 투입이 필요한 대표적 사업은 국민연금 데이터 활용 시스템 구축을 위한 빅데이터 센터와 정주인프라 구축 내용이 담긴 스마트비즈니스 복합센터다.
그러나 빅데이터 센터만 예산이 반영돼 현재 행안부 중앙투자심사 중이다.
반면, 스마트비즈니스 복합센터의 경우 흐지부지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다.
전시·상업기능 우수한 컨벤션, 전주역과 혁신도시간 직통 교통체계 등이 반영된 해당 시설의 경우 전북 혁신도시 공공기관들 사이에서 수요가 높다.
농촌진흥청·국민연금공단 등 공공기관 관계자들은 “세종, 대전, 부산, 서울 KTX역처럼 전주역 인근에도 공공기관 회의·컨벤션실 등이 있고 환승교통편이 좋아지면 행사 유치나 외부인사·직원들의 활동 편리성이 높아지는 등 정주여건이 개선될 것”이라며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다.
게다가 전주시가 유사하게 추진하는 전주역 복합환승센터의 예산 규모가 88억 원에 불과해, 금융중심지 등에 걸맞은 시설 규모를 갖추기엔 한계가 있다. 스마트비즈니스 복합센터 예산이 함께 투입되면 혁신도시와 도심·전주역간 직행 교통체계나 금융인들의 활동여건 조성, 양질의 관련 기업·상업시설 유치 등까지 확대해 설계할 수 있다.
전주역 일대 금융타운 인프라 구축과 구도심 재생을 동시에 이룰 기회인 만큼 공단과 시가 긴밀하게 소통해 중앙부처·정치권 등을 적극적으로 공략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공단·시 관계자는 “지역사회와의 유기적인 발전, 혁신도시 자체 동력 확보를 위해 내년 예산에 반영되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