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8 02:39 (Sat)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문화 chevron_right 문학·출판
일반기사

[신간] 고하 최승범 원로시인, 시집 ‘짧은 시, 짧은 여운’

올해 아흔이 된 시인… 원로작가 진면목
풍미시·먹거리시의 전형적인 단시 특징

“시심의 고갈 느끼고 느끼면서도/ 시조의 이모저모 되짚어 생각하는 건/ 내 시조 내가 챙기며 메워버려 함일레” (‘고갈’ 전문)

1연 3행 단시로 자신의 시심 고갈을 탄하는 시인. 1931년생으로 올해 90세인 고하 최승범 원로시인이다. 나이가 들며 생각도 느낌도 메말라졌다고 말하는 그이지만, 창작의 열정은 쉼이 없다.

최승범 원로시인이 새 시집 <짧은 시, 짧은 여운> 을 들고 왔다.

시집 제목은 짧은 시, 짧은 여운이지만 그의 짧은 시에서는 긴 여운이 느껴진다. 책을 덮는 순간, 독자들은 제목에도 선비의 겸손한 마음이 담겨 있음을 알게 될 것이다.

시집 <짧은 시, 짧은 여운> 에 실린 시들은 이른바 풍미시, 먹거리시의 전형적인 단시를 특징으로 한다. 시인은 이미 산문집 <풍미산책> , <풍미기행> , <한국의 먹거리와 풍물> 등 음식 관련 산문집을 낸 바 있다.

특히 여행길에서 맛볼 수 있는 음식뿐만 아니라 고향과 주 거주지에서 가까이 맛볼 수 있는 음식을 모티프로 한 시들이 눈에 띈다.

“긴 겨울밤 석쇠 놓고/ 화롯가에 둘러앉아// 기름소금 발라가며/ 가래떡 먹는 밤은// 부엉이 울음도/ 밤 깊어// 애련한/ 슬픔이었어” (‘가래떡’ 전문)

시인은 시 ‘가래떡’에서 시적 대상인 가래떡의 미각적 이미지를 표현하기보다는 우리 민족의 세시풍속을 다루고 있다. 이와 같이 시인은 음식을 통해 우리 민족의 역사와 인물을 보여줌으로써 공간적 상상력의 가능성을 환기해준다.

유한근 문학평론가는 “고하 최승범은 생활의 풍류에서 예술적 향취를 느끼게 하는 선비 의식으로 시를 쓰는 시조시인으로 평가받고 있다”며 “이 시집에서는 짙은 향토색을 바탕으로 한 풍물 이야기에서부터 토속적인 음식과 술에 이르기까지 오래전부터 우리에게 가장 친숙했던 모티프를 독특한 관조와 사무사(思無邪)의 미학으로 원로시인의 진면목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남원에서 태어난 최승범 시인은 1958년 현대문학에 시조시 ‘설경’, ‘소낙비’로 문단에 등단했다. 시집으로는 <후조의 노래> , <설청> , <호접부> , <여리시오신 당신> , <이 한 점 아쉬움을> 등을 펴냈다. 정운시조문학상, 가람시조문학상, 한국시조대상, 김현승문학상, 만해문예상 대상 등을 수상했다. 현재는 전북대 명예교수, 고하문학관 관장으로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