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하진 지사, 경기도 주최 데이터 주권 국제포럼서 강조
이재명 “대기업에 데이터 수익 집중…개인에게 돌려줘야”
“지방자치가 풀뿌리 민주주의의 발전을 이뤘다면, 데이터 주권은 디지털 민주주의 발전의 핵심이다.”
송하진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장(전북도지사)은 8일 경기도가 주최한 ‘2021 데이터 주권 국제포럼’ 온라인 개회식에 지방자치단체 대표로 참석해 데이터 주권에 대한 국민 인식 확산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번 포럼은 ‘함께 만드는 공정한 데이터 세상’을 주제로 데이터 주권에 대한 가치를 국제 사회와 함께 공유하고 일상생활 속에서 이를 실천할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를 주최한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개회사를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쌀이라고 불리는 데이터의 경제·사회적 가치가 더욱 높아지면서, 앞으로 거대 기술기업은 개인이 생산한 데이터를 활용해 더 막대한 이익을 얻을 것”이라고 밝히고 “그러나 데이터의 생산 주체이자 주인인 국민 개개인은 아무런 대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제 데이터 경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데이터 선순환 생태계를 만들어가야 한다. 앞으로의 혜택은 기업뿐만 아니라 데이터 생산 주체에게도 돌려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자리에서 송하진 회장은 “데이터의 주인은 국민 개개인이며, 그 데이터들을 가공·삭제하는 1차적 권한도 국민 개개인에게 있다는 것을 널리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며 “지방자치단체를 대표해 모든 국민이 데이터를 주체적으로 활용하고 그 혜택을 공정하게 누릴 수 있도록 경기도를 비롯한 17개 시·도와 함께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