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정부 종합대책 이후 올해까지 추진…최근 마지막 농가 매입 완료
환경부 자연환경 복원 시범사업 선정…훼손 생태계 복원 모범 사례 기대
새만금 수질 및 지역 정주 환경 개선을 위해 지난 13년간 추진돼 온 익산 왕궁 현업축사 매입이 마무리됐다.
이로써 한센인의 아픈 역사가 서려 있는 왕궁 축산단지가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됐다.
8일 익산시에 따르면 최근 왕궁 정착농원 마지막 농가의 매입 계약 및 소유권 이전이 완료됐다.
왕궁 정착농원은 1948년 한센인 격리 정책 일환으로 조성한 것으로, 정부가 강제 이주시킨 한센인들에게 축산업을 장려하면서 정착촌을 중심으로 축사가 난립했다.
이에 따라 악취가 심해지고 비가 오면 축분이 만경강으로 떠내려가 수질 오염을 일으키면서 일대 심각한 악취와 새만금 수질 오염의 주범으로 지목됐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2010년 7개 부처 합동으로 ‘왕궁 정착농원 환경개선 종합대책’을 발표하고 왕궁면 일대 축사 매입을 시작했다.
당초 5년 안에 마무리하는 것이 목표였지만, 협의 매수가 난항을 겪고 매입비 부족 등 예상치 못한 문제가 불거지며 204개 축사를 매입하는 데 장장 13년이 걸렸다.
반면 현업축사 매입이 이뤄지면서 일대 환경오염 지표는 눈에 띄게 향상됐다.
수질 기준 척도가 되는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은 95% 개선됐고 복합악취는 90% 저감됐다.
축사 매입이 진행되면서 완료 이후 국내외 훼손 생태계 복원의 모범 사례가 될 상징적 자연환경 복원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올해 환경부 자연환경 복원 시범사업에 선정된 시는 앞으로 단절된 생태축을 연결해 핵심 보호구역으로 조성하고, 한센인 이주의 역사적 공간을 치유와 회복의 공간으로 탈바꿈하는 체계적 생태 복원을 추진할 예정이다.
정착농원의 한 주민은 “왕궁은 한센인에 대한 차별과 소외의 아픔이 서려 있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어두운 곳이었다”며 “이제 그 어둠을 모두 걷어내고 가장 빛나는 지역이 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양경진 시 녹색도시환경국장은 “왕궁 축사 매입을 마무리할 수 있게 협조해 주신 한센인 축산 농가를 비롯해 도움을 주신 모든 분들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며 “훼손된 자연환경 복원을 통해 왕궁 정착농원이 기후 변화 위기에 대응하는 허파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