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주연 전북극동방송 방송부장
어머니의 두 번째 암 수술 후 항암치료 때문에 머리가 빠져 가발을 쓰셨다. 오랜만에 방문한 외할머니 댁 청소를 하고 어머니는 덥다며 평소 집에서 하시듯 가발을 벗었는데, 딸의 민머리를 처음 본 할머니는 눈물을 터트리셨다. 할머니의 눈물은 어머니를 울게 했고, 손녀까지 통곡하게 했다. 어느 토요일 오후, 그렇게 삼대가 주저앉아 펑펑 울었던 날이었다. 아직도 그날을 잊지 못하는 것은 ‘연약함’이 가져다 준 울림이 있었기 때문이다.
방사선 치료를 하느라 온 몸에 그어진 선과 벌겋게 그을린 피부, 연약해진 어머니를 간호하며 붕대를 감아주시던 아버지. 두 분의 대화가 그들을 지켜보던 딸의 귓가까지 들리진 않았지만 아버지는 분명 그리 말씀하셨을 것이다. “그동안 더 잘해주지 못해 미안해. 앞으로 더 잘할게..” 경제 불황 속에 사업하는 남편을 안팎으로 내조하고, 백수(白壽)를 넘긴 시어머니를 보살피며 살았던 한 여인의 희생이 빛을 발하던 순간이었으니 아이러니하게도 그녀의 연약해진 모습 앞에서야 식구들은 어머니의 사랑과 소중함을 재발견했다. 어머니의 투병 속에서 자녀들은 철이 들고, 가정의 결속력이 강해졌으니 ‘고난이 유익’이란 아이러니가 진리가 되었다.
그러고 보면 연약함에는 역설의 미학이 담겨있다. 길가에 수줍게 핀 들꽃이 삶의 여유를 선사하고, 어린 아이의 작은 미소가 굳은 마음을 녹이듯, 강한 힘이 만들어 낼 수 없는 부드러운 혁명인 약함은 신비롭다.
‘약육강식’의 세상에서 연약하다는 것은 때로 불리한 요소처럼 보이기도 한다. 약자는 강자에게 쉽게 공격을 당하기도 하고, 스스로를 지키지 못하며, 자신의 것을 온전히 주장하지 못한다. 오래전 수렵채집 사회 때부터 이어진 강함이 주는 위력은 오늘 날에도 여전히 존재한다. 그러나 연약함은 강함이 줄 수 없는 유연함을 지녔고, 강퍅해진 마음을 측은함으로 메꿔주니, 일반적으로 강하고 남성다움을 지향하던 사회에서 최근에는 연약함으로 일컬어지던 ‘부드럽고 평온한 여성적인 리더십’으로 전환이 되며 ‘강육약식’의 반전도 펼쳐지고 있다.
몇 달 전 만났던 한 유명 작가는 ‘글을 잘 쓰고 싶다면 아픈 이야기를 쓰라고 권한다’고 했다. 삶의 진솔한 고백만으로도 감동의 이야기가 될 것이라는 역설이었는데, 그는 연약함을 자랑할 것을 당부했다.
연약함을 인정하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 아니다. 오히려 약함을 내려놓고, 부족함을 공유할 때 가식 없는 진솔한 마음이 전해진다. 타인과 비교하며 생기는 시기, 질투에서 자유로워지고, 경계의 대상에서 협력해야하는 존재로 거듭날 수 있다. 이것은 자포자기가 아닌, 스스로를 받아들이는 과정이며 세상속에서 당당하게 살아가게 하는 출발점이 될 것이다.
도종환 시인은 ‘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며 ‘젖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느냐고 묻는다. 이 세상 모든 아름다운 꽃들이 흔들리며, 그리고 젖으며 피었듯, 우리의 인생도 비와 바람에 젖지 않고서는 살 수 없다. 지금의 연약함도 지나고 보면 강함으로 새로운 꽃을 피워낼 것이다.
성탄절을 맞으며, 낮고 천한 말구유에서 태어난 아기 예수를 떠올린다. 세상에서 소외된 이들, 아픈 이들, 고통 받는 이들의 친구가 되기 위해 몸소 연약함을 택했고, 이로 인해 인류에게 신의 사랑이 전해졌다. 우리도 지금의 약함을 부끄러워하지 말자. 훗날 가슴에 빛나는 훈장처럼 모진 풍파 이겨낸 ‘썰’을 누군가에게 풀어주고, 위로해주고 있을 그날을 위해 지금 그 약함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자. 약할 때가 곧 강함이다. /강주연 전북극동방송 방송부장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