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 기획자들 사이에서 이야기되는 키워드 중심에는 늘 ‘로컬’이 빠지지 않는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로컬 활성화’에 대한 논의이다. 굵직한 프로젝트나 강연, 커뮤니티 등으로 지속되는 로컬에 대한 열기는 식을 줄 모른다. 그간 너도나도 언급해 온 마당에 식상할 때가 되지 않았나, 또는 때 지난 키워드가 아닐까하는 생각이 무색할 정도다. 필자 역시 이 단어가 재발견되기 시작한 이후 근 10여 년간 이 핵심어를 토대로 기획 프로젝트들을 지속하고 있다. 그리고 여기저기에서 늘어난 관련 프로젝트들을 살피다 보면 성장세 만큼이나 정리되지 않은 사업도 늘어가는 것이 보인다. 슬금히 파편화되고 불분명한 로컬리티에 대한 반성과 재정비가 필요한 시점으로 느껴진다.
한 가지 분명한 것은 로컬이란 정의는 서울을 포함한 어느 지역, 동네, 구역을 통칭할 수 있다는 합의에 도달했다는 것이다. 지방만이 로컬이라는 인식은 오래전 이야기다. 이런 맥락에서 일정 기준으로 묶을 수 있는 구역에 사는 사람을 우린 ‘로컬인(Local+人)’이라 부르고 있다. 서울 성수동 주민도 로컬인, 전주 사는 사람도 로컬인, 이런 식이다.
근래의 로컬인들은 해야 할 역할이 늘고 있다. 특히 떠나간 로컬인들이 남긴 자리가 ‘문제’가 되면 남은 로컬인들이 합심해 이를 해결해 나간다. 이때 로컬인의 역량과 기여는 더 중요해진다. 주거환경이나 상권이 텅 비어 점점 열악해지는 곳일 경우 고민이 더해지며, 머지않아 그곳의 로컬인들은 이런 질문에 도달한다. ‘떠나간 그 자리에 누구를, 무엇으로 채울 수 있을까?’.
이 질문에 대한 해결책, 즉 흔히 말하는 ‘로컬 상권 활성화’의 열쇠는 ‘머물 결정을 하는 사람들’이 쥐고 있다. 로컬은 그러한 사람들에 의해 다시 채워지며 유기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머물 결정을 하는 사람들을 어떻게 찾아야 할까?
이 질문에 앞서 처음 질문을 살짝 바꾸어보자. ‘무엇이 있어야 로컬에 관심을 갖고 머물기를 작정할까?’로. 이렇게 바꾸면 어떤 기획된 콘텐츠가 필요한가에 대한 대상과 목적이 분명해진다. 또 먼저 존재해온 것들을 찾아내고 연결하는 것을 체계적으로 시작할 수 있다. 로컬인들의 머뭄꺼리가 되는 동네 커뮤니티, 상권 활성화 기획단 활동, 주민 재교육, 새로운 로컬인 양성 등 일련의 행위들은 새로운 사람과 이야기를 찾아 연결한다.
이러한 행위들을 연결하는 핵심에는, 누군가의 ‘취향’이 존재한다. 취향은 ‘하고 싶은 마음이 생기는 방향’이다. 로컬에 머물기를 방해하는 요인들이나 콘텐츠의 홍수 속에서도 어딘가에 머물고 싶은 마음에 결정타를 날려줄 수 있는 것. 그게 바로 필자가 말하는 취향이다.
로컬을 채울 수 있는 사람을 탐색하고 가꾸어야 한다면, 이미 강력한 콘텐츠를 지닌 사람, ‘확고한 취향인’이어야 할 것이다. 취향이 확고한 사람은 또 다른 취향인을 불러들이는 매력을 지닌 사람들이기도 하다.
자, 이제 그다음 질문을 해보자. 우리 지역, 동네에 이식하고 싶은, 또는 자연스럽게 싹을 틔울 수 있는 취향을 가진 사람은 누가 있을까?. 남녀노소가 가진 일정 취향이 산업을 만드는 세상이다. 질문에 답을 찾기 위해서는 로컬에 어떤 취향인으로 채워야 할지를 발굴하고 기획하는 집중력이 가장 먼저 요구된다. 떠나버린 사람을 아쉬워 하기보다는 취향인을 찾아 제대로 머물게하는 전략이 대세가 될 때, 강력한 취향의 힘을 입은 로컬로 거듭날 수 있다.
김현정 디자인에보 대표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