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일자리사업 안전관리 '비상'
 전북지역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자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지만 안전관리에 공백이 생기면서 고령층 안전사고 예방과 현장 관리의 중요성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김제소방서에 따르면 올해(7월 27일 기준) 전북지역에서 노인 일자리 사업 참여자 중 3명이 사망하는 등 총 18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사고 유형별로는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 혈압 당뇨 등 만성질환, 벌 쏘임, 넘어짐 사고 등이다. 특히 여름철은 뜨거운 햇볕에 노출하기 쉬운 야외에서의 작업을 주로 하는 노인 일자리 특성상 폭염으로 인한 열사병 등의 온열질환자 증가가 크게 우려되고 있다. 실제 지난 6월 5일 장수군 장계면에서 노인 일자리 사업으로 나뭇가지 제거 작업을 하던 A씨(남, 80대)가 농수로에 추락해 사망했고, 지난 7월 10일 군산시 옥도면에서는 바다지킴이 환경정화 활동을 하던 B씨(남, 79세)가 온열질환(열탈진)으로 의료기관에 이송됐다. 김제시에서도 C씨(남, 75세)가 등교 도우미 활동 중 온열질환(어지럼증)을 호소해 병원 이송된 바 있다. 정부와 각 지자체는 60세 이상 기초연금 수급자 등을 대상으로 노인 일자리 사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올해 도내에서 노인 일자리 사업에 참여하는 인원은 총 8만6714명으로 지난해 8만2110명보다 4604명 증가했다. 김제시의 경우 올해 6월 말 기준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만8976명으로, 김제시 전체 인구 8만1382명의 36.6%를 차지하고 있다.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이 20% 이상을 초고령사회로 분류하는 국가 기준을 훨씬 뛰어넘는 비율이다. 김제시의 올해 노인 일자리 사업의 참여자는 7549명으로, 60세 이상 인구 3만7129명 중 5명 중 1명이 노인 일자리 사업에 참여하는 것으로, 전년 7474명 대비 75명이 증가한 수치이다. 이에 김제소방서에서는 노인 일자리 참여자들의 안전 확보를 위해 김제시, 노인 일자리 수행기관 9곳과 협업해 온열질환 예방, 사고 발생 응급처치와 함께 화재 시 신속 대피요령 등 다양한 안전관리 프로그램을 구성해 정기적인 안전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며, 노인 일자리 수행기관의 소방안전교육 요청 시 적극 협조할 방침이다. 이종옥 소방서장은 “노인 일자리 참여 어르신 등 고령층의 안전한 사회활동 참여와 사고 예방을 위해 김제시, 지역사회와 협력해 현장 중심의 안전관리와 교육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김제=강현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