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기업을 지켜야 하는 이유
 흥부전의 배경지인 남원 인월면에는 농촌체험휴양마을이자 마을기업인 ‘달오름마을’이 있다. 사계절 농사와 먹거리 체험으로 학생들과 외국인 방문이 끊이지 않는 마을인데, 흥부 잔치밥이 인기 아이템이다. 천연 박 바가지에 갖은 나물과 밥을 넣어 쓱쓱 비벼 먹으면, 흥부전 속으로 시간여행을 한 듯 분위기가 절로 무르익는다. 마을기업은 지역과 관련된 스토리, 농산물, 자연경관 등 유무형 자원을 상품화하여 주민들이 직접 운영하는 공동체 기업이다. 2010년 시범사업으로 시작한 이래 15년 동안, 지역문제를 해결하고 주민 일자리와 소득을 창출하는 사회적경제 대표 모델로 성장해왔다. 특히 농촌 지역에서 두각을 나타내어 농가공 및 체험으로 다양한 6차 산업 모델을 제시해왔다. 남원 주천면에 위치한 웅치마을영농회는 주민들이 농사지은 잡곡으로 전통 강정을 생산하고, 체험객이 연 2천명 방문하는 5년차 마을기업이다. 마을 어르신들과 강정 사업 준비를 하며, 물도 나오지 않는 회관 옥상에서 시제품을 만들던 시절을 지나 올해는 네덜란드와 독일, 미국에 곰재강정을 수출하는 데까지 성장했다. 최근에는 농촌 유휴시설을 활용한 마을기업 사례도 주목을 받고 있는데, 오는 13일에 오픈하는 하주발효마을카페는 폐농협창고를 리모델링하여 추진되었다. 2021년 예비단계를 거쳐 2022년 행안부 신규마을기업으로 발효를 테마로 한 베이커리와 장류 체험 사업을 해온 성과가 바탕이 되었다. 백세 건강마을이라는 비전을 세운 하주발효마을은 주민 카페를 기반으로 ‘설탕 없는 마을’을 선언하고, 마을에서 농사지은 현미로 구수한 무설탕 식빵을 만든다. 남원 서부권의 너른 들녘을 품고 있는 금지면 마을기업 ㈜비즌양조는 매일 아침, 마을에서 수매한 콩을 갈아 따끈한 순두부를 만든다. 방치되어 낡아가던 구판장을 개조한 마을식당의 주메뉴는 순두부와 청국장 정식이다. 점빵도 식당도 모두 사라졌던 마을 중심지에 되살린 밥집의 이름은 ‘화동(和同)식당’이다. 조화롭게 어울리며 살아가는 공동체의 미덕, 낡고 버려진 시설을 식당과 양조장으로 바꿔 새로운 역사를 만들어가는 마을기업 비즌이 나아갈 길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이처럼 지역의 활력이 되는 마을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관심있는 시민들을 모집하여 마을기업 투어를 다닌지 2년이 지났다. 남원뿐만 아니라 완주, 고창, 정읍, 순창, 익산, 군산, 순천까지 다양하게 참여 누적 인원만 200여명 가까이 된다. 마을기업을 실제로 준비하고 있는 이장단, 주민 활동가들도 있었고, 지역 투어에 대한 기대와 호기심으로 참여한 시민들도 있었다. 강의와 현장 견학으로 빈틈없는 하루 일정을 함께하고 돌아오는 버스 안에서는 참여자들과 으레 소감을 나눈다. 주를 이루는 이야기는 사람과 희망이다. 마을기업을 만들고 함께 성장해온 주민 대표들이 전해준 여운이 남고, 이게 바로 지역이 소멸되지 않고 살아날 희망이라는 것이다. 그렇기에 이미 행정안전부에서도 마을기업이 소규모 농가공와 6차 산업을 넘어 청년과 일자리, 지역사회 문화와 서비스 영역까지 확산되어야 한다는 비전을 세운 바 있다. 2025년 마을기업 공모가 진행중이다. 2024년에 예비와 신규 단계 지정을 하지 않았던 파행에 비하면 다행이지만, 공모는 하되 사업비가 확보되지 않아 넘어야 할 과제가 많다. 마을기업은 농촌 공동체에 지속성을 만들어나갈 수 있는 검증된 해법이라는 사실을 잊지 않았으면 한다. 최규혜 남원시공동체지원센터 사회적경제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