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객선침몰> 軍, 잠수사 '릴레이식' 투입
특별취재팀 = 침몰 여객선 '세월호' 실종자 구조탐색지원에 나선 군 현장구조지원본부는 실종자를 신속하게 탐색하기 위해 잠수사를 '릴레이식'으로 투입하고 있는 것으로 18일 알려졌다. 군의 한 관계자는 이날 "독도함에 설치된 현장구조지원본부가 오늘 현장에 대기중인 잠수사들을 릴레이식으로 투입하고 있다"며 "잠수사들의 안전도 중요하지만 수중에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한계치까지 구조와 탐색작업을 실시하도록 했다"고 밝혔다. 수중 탐색 작업 과정은 잠수사 1명이 여객선 선체까지 도발하는데 1520분, 수중 탐색에 1025분, 작업을 마치고 올라오는데 15분가량 각각 소요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현재 해군 구조전대 잠수조 5개조를 각 2명씩 총 10명으로 편성해서 립보트, 고무보트 등에 태워서 지원하고 있다"며 "10명밖에 편성하지 못하는 이유는 (사고발생 우려 때문에) 많은 인원수를 동시에 물속에 투입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세월호에는 '인도색'이라는 생명줄을 잡아야 내려갈 수 있다"며 "물속에 들어가면 전혀 보이지 않고 물살이 매우 세기 때문에 그 생명줄을 놓치면 곧바로 사고가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현재 잠수사들은 선실 통로로 원활히 진입할 수 있도록 여러 곳에 생명줄을 설치하거나 통로 개척, 선체 외부 탐색 등 각각 임무를 분담해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군 관계자는 전했다. 김 대변인은 "오늘 사고 해역의 정조시간은 오전 4시 반, 그리고 오전 10시 20분, 오후 4시 29분, 밤 10시 25분 등 4번에 걸쳐서 있다"며 "이 시간 전후로 약 30분씩, 1시간가량 수중수색을 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군 관계자는 "여객선의 선실로 접근하기 위한 통로를 개척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면서 "조류 흐름이 빠르고 부유물도 있어 진입이 쉽지 않은 상황이며 이런 문제로 잠수사들의 수중작업 시간도 단축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오늘 오전 4시에도 잠수사 2개 팀이 수중에서 인도색 설치 등의 작업을 했다"면서 "현장에 투입되는 함정들도 1선, 2선으로 나눠 실종자가 유실되지않도록 조치하고 있다"고 전했다. 군 당국은 사고해역에 독도함(1만4천t) 등 함정 26척, 항공기 24대, 해난구조대(SSU), 해군 특수전 전단(UDT/SEAL), 특전사 요원 등 400명을 투입했다. 시험 운행 중인 통영함을 제외한 청해진함, 다도해함, 평택함 등 3척의 해군 구조함이 잠수사들을 지원하고 있다. 군 현장구조지원본부장인 황기철 해군참모총장은 해난구조대(SSU), 특수전전단(UDT/SEAL), 특전사 소속 잠수사들을 현장에 최대한 대기시키도록 했다. 특히 군은 야간 수색을 위해 육해공군이 보유 중인 조명탄을 최대한 확보할계이다. 김 대변인은 사고해역에서 해군 함정이 별로 보이지 않는다는 지적에 대해 "해경이 내부에 있고, 해군은 외곽에서 대기하면서 계속 지원작업을 하고 있다"며 "필요한 수색작업을 할 때는 단정을 통해 내부로 들어가서 구조작전, 수색작전을 수행하는 그런 개념을 하고 있기 때문에 언뜻 보면 눈에 띄진 않지만 외곽에 다 대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구조함인 평택함과 청해진함이 출동시간이 지연됐다는 일부 언론의 보도에 대해서는 "청해진함은 (사고 다음날인) 17일 0시26분, 평택함은 오전 1시49분에 각각 도착했다"며 "구조함은 전투함이 아니기 때문에 시속 18.5㎞로 속도가 매우 느리다"고 설명했다. 김 대변인은 미 해병대의 본험리처드호에 탑재된 헬기가 구조지원차 출동했다가 우리 해군이 거부해 복귀했다는 일부 보도에 대해서는 "본험리처드호는 (사고 당일)오전 11시 58분 MH-60 헬기 2대를 사고 해역에 보냈다"며 "그 당시는 다수의 구조헬기가 집중 운영되고 있어 MH-60 헬기는 역할이 많지 않아서 일단 복귀시키고 추가 임무를 주겠다고 지시한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