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영욱 기자(사회부)
5일 전주시의회의 개원일은 장애인과 여성 등 소수자의 최악의 날이었다.
제8대 전주시의회는 장애인 1명과 여성 5명이 시의원으로 당선돼 새로운 의회상을 정립하는 계기가 될 것이란 기대감에 부풀었다. 여기에다 10여년동안 사실상 1당체제에 가까웠던 시의회가 열린우리당은 물론 민주당과 민주노동당으로 이뤄져 정당간 정책경쟁까지 가능케 돼 풀뿌리 민주주의를 위한 활발한 움직임이 기대되는 시의회이기도 했다.
하지만 전주시와 시의회의 청사는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을 위한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기본적인 내용조차도 제대로 지키지 않았다. 실제 시각장애인들조차 판독하기 어려운 시설이 수두룩, ‘미로찾기’게임이라도 해야하는 상황에 직면해있다.
물론 이들 소수자들의 불편과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킬 것이란 것은 불을 보듯 뻔했다.
시각장애인출신 송경태의원은 이날 오전 전주시의회 청사앞에서 이같은 무대책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였고 언론은 물론 시민들의 관심을 촉발했다.
송의원은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지난달 초 전주시에 시각장애인 등 장애인들이 시설이용에 불편한 점이 많았다”고 들고 “아직까지 제대로 개선하지 않아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차원에서 문제 제기를 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여성의원들도 송의원의 불편보다는 크지 않았지만 기초적인 휴게실조차 마련되지 않아 오직했으면 의장지망자들조차 여성의원들의 복지시설을 마련해주겠다는 약속했겠는가.
시 등은 이들 시설을 완비하려면 문제는 예산 때문이 아니냐고 항변하고 싶겠지만 이같은 변명을 전북의 최고도시에서 되풀이하는 것이 바람직스러운 일인지 곰곰히 생각해볼 때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