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훈 기자(사회부)
얼마 전 전주시 고사동의 한 건물주는 건물철거용역을 가능한 지역업체들에게 맡기려 했다.
그러나 도내 업체들이 제시하는 철거비용이 타지역 업체보다 월등히 높아 결국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도내 건축폐기물 처리업체들의 가격횡포에 영세철거업체들의 불만이 높다. 타지역에 비해 두배 가량 높은 폐기물 처리비용에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이들 업체에게만 폐기물을 반입할 수 있는 구조적 약자이기에 목소리를 높이지도 못한다.
철거업체들이 건축폐기물을 타지역으로 반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같은 약점을 이용해 처리업체들은 비슷한 가격대로 높은 처리비용을 책정해 놓고 있다. 서로간의 경쟁은 줄이되 이득은 최대한 취하자는 이들의 횡포에 피해를 보는 것은 철거업체 뿐 아니라 소위 막노동꾼이라 불리는 서민들도 포함돼 있다.
높은 폐기물 처리비용으로 철거용역 수주가 어려운 철거업체들이 궁여지책으로 노임을 줄이고 있는 것이다.
도내에 운반, 소각, 매립 등 폐기물처리와 관련된 업체는 모두 230여 곳.
경쟁이 심할 법도 하다. 실제 이들 사이에 가격경쟁은 있다. 순환골재로 재활용해 다시 상품화 할 수 있는 폐콘크리트 등의 폐기물 처리가격은 타지역에 비해 저렴하다고 한다. 폐기물 반입시 수수료를 받고 순활골재로 내다 팔 때 또 수익이 생기기에 업체간 경쟁이 치열한 것이다.
그러나 소각, 매립 등 재활용이 안되고 처리절차도 까다로운 매립, 혼합 폐기물에서는 상호경쟁 없다.
한 철거업체 사장은 “칼자루는 처리업체가 쥐고 있어 처리비용이 비싸고 절차상의 문제가 있다고 지적할수록 오히려 철거업체에게 더 불리해진다”고 한탄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