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국토청 발주 사업 지역 수주 전무…지자체 공사 참여비율 49%로 높여야
도내 엔지니어링 업계가 4대강 및 새만금 사업 등 대형 국책사업에서 소외되면서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4대강 사업이 본격화되면서 사상 최대의 건설경기 호황을 예고하고 있지만, 지역업체는 참여도 못한 채 외지 대형업체들만의 잔치로 전락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11일 도내 엔지니어링업계에 따르면 4대강 사업을 비롯한 대형 국책사업을 앞두고 설계용역 발주가 잇따르고 있지만 지역업체들은 수주경쟁에서 밀려 들러리 역할만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익산국토관리청 등 국가에서 발주하는 대형공사 설계용역의 경우 지역업체 참여를 위한 지역의무공동도급이 적용되지 않아, 실적 및 기술인력이 부족한 지역업체에서 수주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4대강 살리기 공사의 경우 정부가 지역업체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관련법 개정까지 추진하고 있지만, 이미 발주되고 있는 설계용역에는 적용되지 않아 외지업체들이 대부분 시장을 잠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게다가 정부는 4대강 사업중 턴키공사를 제외한 일반공사는 자치단체에서 발주토록 했지만, 설계용역은 지방국토관리청에서 주관할 것으로 알려져 지역업체 참여기회는 더욱 축소될 것으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도내 A업체 관계자는 "도내 90여개사가 활동하고 있지만 익산청 발주 용역의 경우 지역업체 참여때 가점 부여나, 지역의무공동도급을 적용하지 않아 지역업체 수주가 사실상 전무한 상태"라며 "4대강 뿐 아니라 대형국책사업은 대부분 수도권 업체가 잠식하고 있고 지역업체는 들러리 역할만 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그나마 지역의무공동도급을 적용해 발주하는 도내 자치단체들의 인식전환도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지역업체 참여비율을 49%까지 확대할 수 있는데도, 대부분 자치단체들이 30%로 규정해 지역업체 참여기회를 축소하고 있다는 것이다.
도내 B업체 관계자는 "건설공사와 마찬가지로 설계용역도 지역의무공동도급을 확대해줄 것을 익산청과 자치단체에 수차례 요구했지만 반영되지 않고 있다"면서 "대부분 자치단체가 지역업체 참여비율을 30%로 고수하고 있는데, 지역경제 활성화 및 지역업체 참여 확대를 위해 49%까지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