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에서는 주요 기업들의 2.4분기 실적이 예상을 웃도는 수준을 기록하면서 다우지수가 7일째 올라 8,900선을 넘어서는 등 주가가 상승세를 이어갔다.
잠정 집계에 따르면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67.79포인트(0.77%) 오른 8,915.94로 거래를 마쳐 8,900선을 회복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3.45포인트(0.36%) 상승한 954.58로 마감했고 나스닥 종합지수도 1,916.20으로 6.91포인트(0.36%) 올랐다.
이로써 S&P 500 지수는 전날에 이어 8개월 만에 최고 기록을 유지했고 나스닥 지수도 10일 연속 상승세 행진을 이어갔다.
이날 증시에서는 캐터필러와 머크, 듀폰, 코카콜라 등 주요 기업들의 실적이 대부분 예상치를 웃돌거나 작년 같은 기간보다 개선되면서 주가가 상승세로 출발했다.
이런 기업들의 실적 호전은 최근 각종 경제지표가 호전 기미를 보이는 것과 맞물려 경기가 최악의 상황을 이미 지났으며 앞으로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는 기대감을확산시키고 있다.
중장비 생산업체인 캐터필러는 2.4분기 순익이 3억7천100만달러(주당 60센트)로1년 전 11억1천만달러(주당 1.74달러)보다 큰 폭으로 감소했지만, 일부 비용을 제외한 순익은 주당 72센트로 전문가들의 전망치인 주당 22센트를 웃돌았다.
제약업체인 머크와 화학업체 듀폰도 특별항목을 제외한 2분기의 주당 순익이 전문가들의 예상치를 넘어섰고, 코카콜라는 2분기 순익이 20억4천만달러(주당 88센트)로 1년전 14억2천만달러(주당 61센트)보다 크게 늘었다.
전날 골드만삭스가 S&P 500 지수의 연말 목표치를 상향 조정한 데 이어 크레디스위스도 S&P 500 지수의 연말 목표치를 기존 920에서 1050으로 높여 잡은 점도 주가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
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이 통화정책기조를 전환할 방침을 시사하기도 했지만, 경기하강 속도가 현저하게 느려졌다면서 현재 통화정책은 경기회복을 진작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말한 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CIT그룹이 다음 달 만기도래하는 채권을 상환할 자금이 부족하다고 밝혀 파산보호 신청 가능성이 다시 제기되면서 주가가 한때 하락세로 돌아서기도 했지만 이내 다시 상승세로 올라섰다.
캐터필러는 7.7%가량 올랐고 머크도 6% 이상 상승했다.
한편, 이날 CIT 그룹의 파산보호 신청 가능성이 다시 제기되면서 달러화가 상승했다.
이날 오후 3시1분 현재 뉴욕 외환시장에서 유로에 대한 달러 환율은 1.4194달러로 0.3% 하락(달러가치 상승)했다. 엔-달러는 93.60엔으로 전날 94.19엔보다 0.6% 떨어졌고 엔-유로는 132.87엔으로 0.9% 하락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