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교육청 숫자 파악 어려워…손소독기·체온계 못구해 방역·차단도 '삐걱'
중·고교에 이어 초등학교의 개학이 본격화됐으나 정부의 신종플루 정책이 방역·차단에서 조기치료 중심으로 바뀌면서 일선 학교와 교육당국의 신종플루 상황파악이 어려워지는 등 많은 한계점이 우려된다.
도교육청은 적극적인 방역·차단을 위해 손소독기와 체온계 등의 마련에 나서고 있지만 대부분의 의료기상사들이 '재고없음' 상태여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도교육청의 한 관계자는 27일 신종플루 상황파악과 관련, "개인적으로 알고 있는 환자 사례들이 상황보고에는 빠지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확진판정을 받기 위해서는 8만여원을 추가로 지불해야 하고 확진에 따른 낙인효과 등의 부담이 뒤따르기 때문에 일부 환자들이 양성반응 이후에 확정판정을 생략하고 치료에 집중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병의원 등에서도 확진판정 검사장비 및 능력의 한계, 1일 이상 소요되는 시간의 부담 등을 이유로 확진판정을 적극적으로 권장하지 않고 있다. 일부 의사들은 "확진판정이라는 것은 신종플루에 감염됐다는 것을 확인하는 절차에 불과하다"며 "신종플루 증상이 있어 약을 먹고 증상이 호전된다면 굳이 확진판정을 받을 필요가 없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학교 및 교육당국의 입장은 의료계와는 다르다. 신종플루 감염자를 정확히 파악해 다른 학생들과 격리시켜야 하지만 확진판정을 받지 않을 경우 보건소나 학교 등에 보고되지 않기 때문에 환자를 가려낼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일부에서는 다음주까지 대부분의 초등학교들이 개학을 하고나면 환자수가 급속히 증가할 수도 있다며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따라 도교육청은 다음주부터 '등교 때 발열검사' 등을 통해 방역·차단에 적극적으로 나선다는 방침으로 장비구입에 나서고 있지만 발열검사에 필요한 체온계는 시중에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이곳 저곳의 의료기 상사들에 문의했으나 재고가 없다는 이야기를 들었고, 어렵게 한 곳을 알아냈지만 귓속형이 아닌 이마형 체온계는 고작 2개만 있었다"고 말했다.
도내에서는 27일에도 2명의 학생환자가 추가로 발생했으며 익산 여산초는 28일로 예정됐던 개학일을 9월 1일로 연장했다. 집단적으로 환자가 발생해 휴업했던 전주의 모 여고는 28일부터 정상 등교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