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승현(우석고 2년)
◆ 논 제
제시문 (가)를 읽고 환경 오염의 심각성을 다른 예를 들어 정리하고, (나)(다)를 참고로 하여 개발을 멈출 수 없는 이유를 제시하고, (라)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논술하시오.(1,000자 내외)
◆ 학생글
환경을 '정복 지향 대상'이 아닌 '반려자의 존재'로 인식해야 한다.
현재 우리 지구촌은 산업화 이후 환경과 '강제적 주종 관계'를 맺고 나서부터 고역스러운 문제에 직면했다. 이 환경 문제는 어디에서 기인한 것일까? 초기 산업화 시기에는 우리 인류에게 그렇게 큰 재앙을 가져다 줄 것이라 예견치 못했다. 따라서, 성장 중심의 경제 정책에 제국주의 국가들의 초점이 맞추어 졌고, 문제는 여기서 발생하기 시작했다.
1984년의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건으로 타국의 국민에게 피해가 확산되고, 라인 강과 다뉴브 강의 국제 하천 오염이 주변국에 피해를 주었다. 또 지구 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으로 설 곳을 잃은 투발루 섬국 주민들의 일례는 환경 문제의 맹점과 심각성을 부각시킨다. 온 인류가 이 환경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국제적 협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우리 모두가 해결 할 환경 문제가 일부 잘못된 가치를 가진 세력들에게 방해받고 있다.
현대 사회의 젊은이들에겐 빠른 것을 선호하다 보니, 풀 한 포기, 나무 한 그루의 존엄한 가치를 생각 할 겨를이 없다. 이를 신세대의 문화계승으로 인한 부작용으로만 보는 것은 다소 문제가 있다. 우리 조상 이후로 문화는 끊임없이 흘러왔고, 우리는 그것을 계승해야 하므로 이 환경적 문제 또한 그 종착역은 짐작할 수 있을지언정, 명확한 시발점을 알아내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문화적 가치로 인해서 환경적 가치의 추구가 지연되는 일이 발생하는 배경 안에는 또 다른 방해 요인이 숨어있다. 바로 기업가의 '기업가 정신'을 뛰어넘는 사익의 추구이다. 이 사익은 기업가에게 환경적 가치와 사회 총체적 가치를 무시하게 만들 수 있다. 이 힘 있는 소수의 가치 전도 현상은 사회 전체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즉 사회의 조그마한 '환경을 누릴 권리'를 소수의 기업가들이 집약체로 만들어 집어 삼키고, 그 비용은 결국 모두에게 분산되는 것이다. 막대한 이익을 얻은 소수 기업가들은 일명 '먹튀'에 열을 올리며 환경 문제의 협상 테이블에서 발을 빼고 있다.
현 국제 사회에서 강대국들을 보면, 몬트리올 의정서, 교토 의정서, 기후 변화 협약 등을 '안 지켜도 그만 지키면 바보' 인 것으로 치부하고 있다. 우리 주변의 환경 문제를 국가적 차원에서 정규 교육 과목으로 이수하게 하여 그 중요성을 국민에게 지속적으로 인식시켜야 한다. 또한 대체 에너지의 개발을 계속하고, 그린피스와 같은 거대 환경 보호 단체의 활동을 지원해야 한다. 우리 모두가 환경을 '정복 지향 대상'이 아닌 '반려자' 의 존재로써 인식한다면, 비로소 자연과 하나 될 수 있다.
/최승현(우석고 2년)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