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추운 기운이 남아 있지만 봄의 문턱이 다가오면서 그간 실내운동에 만족해야 했던 시민들이 야외로 나오고 있다.
그러나 무리한 운동 의욕만 앞세웠다가 오히려 몸을 상하는 경우가 적지 않아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겨울을 보내는 동안 몸의 근육과 관절이 한껏 위축돼 유연성은 줄어들었는데 체중은 늘어나 몸이 전체적으로 둔하다.
또한 무거운 느낌이 들 수밖에 없기 때문에 기분에 들떠 무리하게 운동하기 보다는 본인의 근력과 체중을 감안하여 운동 계획을 세운 후 단계적으로 실천해야 한다.
평소 운동을 하지 않다가 갑작스럽게 과도한 운동을 하면 발바닥에 무리한 하중이 가해져 생기게 된다.
특히 발바닥 근육의 유연성이 떨어지는 40∼50대 중년층에서 많이 생기며, 상태가 심하지 않다면 운동을 자제하고 얼음찜질을 해 염증을 가라앉히고, 부드럽고 충격이 잘 흡수되는 신발을 신으면 좋다.
또 달리거나 점프를 할 때 아킬레스건이 손상되거나 파열되는 경우도 많은데, 이 때문에 달리는 중에 발뒤꿈치가 부어 있거나 약간의 통증만 느껴진다면 무리하지 말고 며칠 동안은 휴식을 취해 주는 게 좋다.
특히 운동 이후에는 근육에 쌓인 젖산, 근육 파열 등으로 근육통이 생길 수 있다.
이때는 다리가 아프더라도 걷기나 계단 오르기 등과 같은 운동을 꾸준히 해주면 근육에 쌓인 젖산이 빨리 분해돼 회복이 빨라진다.
봄이 되면 날씨만큼이나 경치도 좋아 남녀노소를 불문한 모든 사람들이 등산을 시작한다.
하지만, 이 또한 하체에 하중이 많이 실리는 운동이다 보니 등산 중 다리를 다치는 일이 많은데, 평소 운동량이 적은 경우 하산하다 다리에 힘이 빠져 부상하기 쉽다.
등산 중 흔한 부상은 바로 발목 염좌다. 등산로 자체가 울퉁불퉁하고 그늘진 곳은 아직 눈이 녹지 않거나 땅이 얼어 미끄러운 구간도 있기 때문에 미끄러지거나 균형을 잘못 잡아 발목을 삐끗하는 일이 많아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