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 국비 삭감에 당초 19곳서 2곳으로 축소
전통시장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택배 지원사업'이 대거 축소됐다. 국비지원 사업이 여의치 않자 시범사업으로 전환하면서 용두사미가 됐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24일 전북도에 따르면 전통시장의 매출을 올리고 고객을 늘리기 위한 전통시장 택배지원 사업을 올해 2개 전통시장에서 실시키로 했다. 총 6460만 원(도비 1400만 원, 시·군비 2660만 원, 자부담 2400만 원)의 예산으로 전주 모래내시장과 남원 공설시장에서 시범 운영될 예정이다. 택배차량과 오토바이, 운영비 명목의 유류비, 무선장비, 보험료, 홍보비가 지원된다.
하지만 당초 이 사업은 전북도가 올해 민생 분야의 주요 시책 중 지역 특화형 전통시장과 골목상권 활성화를 위해 '전통시장 택배센터' 운영으로 구상됐다. 1단계로 정부의 전통시장 택배사업과 연계해 100개 이상 점포가 있는 전통시장 19개에 콜센터, 배송인력 배치 등 배송센터 시스템을 구축·운영하도록 시장당 8000만 원을 지원할 계획이었다. 2단계에서는 시스템을 확대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올해는 단 2곳에서만 시범실시키로 했다.
이는 국회 지식경제위원회에서 전국 200개 시장을 대상으로 택배시스템 구축 사업을 추진했으나, 본회의 심의 과정에서 예산이 삭감돼 지방비로만 추진해야 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현재도 도비만 확보됐을 뿐 해당 자치단체인 전주시와 남원시에서는 아직 예산이 편성되지 않아 그 마저도 곧바로 시행되지 못하고 있다.
전북도 관계자는 "각 시에서 오는 9월 2차 추경 때 관련 예산을 확보하면 바로 실시하겠다"면서 "지방비로 사업을 추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며 국비지원을 호소했다.
한편 전주 남부·신중앙 시장과 풍남문 상가 등에서는 '장엔정(情) 도우미'를 활용해 배달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남부시장은 월평균 120여건, 신중앙시장은 70여건의 배달이 이뤄진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