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선거를 눈앞에 둔 시점에서 그에 대한 평가는 필수 불가결하다. 전북교육이 앞으로 나가기 위해선 그의 공과(功過)를 뛰어 넘어야하기 때문이다. 그는 당선과 함께 부패한 전북 교육계에 청렴 바람을 불어 넣었다. 반면 소통 부족과 갈등을 일으켰고 학력저하 논쟁에 휩싸였다.
교육계 청렴문화 안착 대단한 성과
먼저 그의 공(功)부터 보자. 전북교육계는 22년 전인 1992년 첫 민선시대의 깃발을 올렸다. 첫 주자는 임승래였다. 이후 염규윤-문용주-최규호-김승환으로 이어졌다. 그 동안 전북교육은 부침이 없지 않았으나, 대체로 추락의 연속이었다. 지식을 가르치는 교(敎)와 인격도야의 육(育)이 모두 그랬다. 원인은 블랙홀처럼 빨아들이는 수도권 집중과 빈약한 경제력 탓이었다.
하지만 여기에 전북교육을 이끄는 수장의 리더십 미흡도 한 몫 거들었다. 미래를 내다보는 통찰력도 없었고 상당부분이 부패했다. 최규호 시대가 절정이었다. 곳곳에서 썩은 냄새가 진동했다. 결국 최 교육감은 2010년 김제 스파힐스 골프장 뇌물사건으로 구속 직전에 도주했다. 지금까지도 행방이 묘연하다. 교육계의 부패가 얼마나 심각한가를 몸으로 보여줬다.
그 반사이익을 톡톡히 누린 이가 김승환이다. 그는 지난 선거에서 부패 척결을 외치며 등장했다. 예상을 깨고 오근량 후보에게 0.3%(2281표) 차이로 신승한 것이다. 이후 김 교육감은 단돈 100원도 받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그리고 실천했다.
아직 아랫물이 흐리긴 하나, 김 교육감은 교육계에 청렴문화를 안착시켰다. 그것만 해도 대단한 성과다. 더불어 혁신학교와 학생인권조례 등 진보의 색깔이 완연한 정책을 펼쳤다.
다음 과(過)를 보자. 그는 불통의 아바타였다. 교육부와 도의회, 언론과 끊임없이 갈등했다. 교육부와는 교원평가제, 학교폭력 기재 거부 등으로 가뜩이나 부족한 재정을 더욱 열악하게 했다. 도의회와는 인사문제로 불협화음을 빚었다. 언론과도 친하지 않았다.
이러한 비판을 의식해서인지 최근 출간한 책 이름이 ‘김승환의 듣기여행(敬聽)’이다. 여기서 멘토인 안경환 전 국가인권위원장과 재미있는 대화를 나눈다. 김 교육감이 “저는 거기(신동아)엔 글을 싣지 않을 겁니다. 그러자 안 위원장이 ’김 교육감은 그게 문제야. 지금은 교수(그는 전북대 법대 교수였다)가 아니거든!’”라며 “반대하는 사람들의 의견을 어떻게 종합해 내느냐가 가장 중요한 역량”이라고 조언한다. 또 안도현 시인과의 대화도 같은 맥락이다. “김승환하면 너무 부딪혀가는 이미지가 강하거든요. 그 부딪침을 잘 스며들게 만드는 일이 앞으로 하셔야 될 일이 아닐까 생각돼요.”
이와 함께 학력저하 문제는 논란의 소지가 없지 않다. 입장에 따라 다를 수 있겠으나 일선 고교의 진학부장들 사이에선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교육청이 평준화에만 신경을 쓰지 수월성에는 관심이 없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한국대학신문의 보도는 충격적이다. 해방 이후 재임한 서울대 총장 23명 가운데 호남출신이 한명도 없다는 사실이다. 현재 거론되는 차기 총장후보 12명도 역시 마찬가지다. 이는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좀 과장하면 한국 주류사회에서 호남은 완전히 벗어났다고 볼 수 있다. 인재의 씨가 마르고 있는 셈이다.
불통·학력저하 문제 논란 극복해야
이제 6·4 지방선거가 두 달 앞으로 다가왔다. 교육감 선거는 도지사나 시장군수에 비해 관심이 덜한 듯하다. 하지만 교육감은 지역교육의 수장으로서 ‘교육 소통령’이라 불릴 만큼 중요하다. 유아 및 초·중등 교육은 물론 평생교육을 책임지고 막대한 예산과 교직원에 대한 인사권을 갖는다. 교육감의 교육철학이 어떠냐에 따라 학생의 미래가 좌우될 수 있다. 김승환 교육감의 공과, 그가 재선되든 안 되든 극복해야 할 과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