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서민 경제 위협·성문화 왜곡 등 내용 / 일부 배포자 교통신호 무시 단속반 다치기도
오토바이를 타고 뿌리는 일명 ‘일수·유흥주점 명함’살포 행위가 극성을 부리고 있다.
이들 광고물 대부분은 불법 대출·일수 및 유흥주점 등에 관한 것으로, 서민경제를 위협하거나 잘못된 성문화를 조장할 수도 있다는 것이 시민들의 우려다.
28일 오전 10시께 전주시 금암동 전북대 사범대부설고 인근 도로.
번호판도 달지 않은 125cc오토바이에 탑승한 한 남성이 일수명함을 상점 입구에 뿌리고 있었다.
오토바이를 세우지도 않은 채 순식간에 수많은 명함을 투척한 이 남성은 신호도 무시한 채 유유히 도로를 횡단했다.
이런 모습은 인후동 인근 상가밀집지역에서도 눈에 띄었다.
이와 함께 허가받지 않은 불법 현수막도 가로수에 버젓이 걸려 있었다.
시민 이모씨(32·전주시 효자동)는 “도심 미관을 해치는 것은 물론 당장 돈이 급한 서민들을 악의 구렁텅이로 빠뜨리는 일수명함 살포에 대해 강력한 행정처분이 내려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전주시와 경찰은 합동 단속반을 꾸려 일수명함 배포자들이 주로 다니는 길목에서 잠복근무에 나서 배포자를 발견하는 즉시 오토바이 열쇠를 빼앗고 증거물을 압수하는 방식으로 단속에 나서고 있다.
전주시에 따르면 올해 현재 이런 명함형 전단을 살포한 6명에 대해 과태료를 부과했다. 또한 전단에 나온 전화번호 37건을 착신정지시켰다.
하지만 적발에 어려움이 뒤따른다는 것이 단속반의 설명이다.
단속반을 위협하거나 오토바이로 들이받는 사고가 발생하는 등 갈수록 횡포가 심해 보다 강력한 대책이 요구된다.
실제 지난해 완산구청의 한 직원은 명함을 살포하는 배포자가 탄 오토바이에 부딪혀 다치기도 했다.
또한 배포자를 적발하더라도 명함 살포를 지시한 ‘윗선’에 대해 함구하는 탓에 그 뿌리를 뽑기가 힘들다고 하소연한다.
전주시 관계자는 “명함형 전단 주요 살포지역에서 경찰 등 관계기관과 합동단속을 벌이고 있지만, 배포자들이 워낙 신출귀몰한 탓에 단속에 애를 먹고 있다”면서 “서민생활을 위협하는 불법 명함 살포에 대해 보다 강력히 대처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