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차량통행 제한 / 남부시장 침체 우려 / 대체·우회로 조성 등 대안 마련 우선돼야
속보= 전주시가 시내버스 등 대중교통수단만 다닐 수 있는 ‘대중교통 전용지구’조성 계획을 밝혀 관심을 끌고 있는 가운데 인근 상인들의 공감대 형성과 교통대책 마련이 사업 추진의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1월 22일자 7면 보도)
전주시는 최근 한옥마을과 연계되는 팔달로 일부 구간 550m(충경로사거리~풍남문 교차로)에 보행자와 대중교통수단만 통행할 수 있는 대중교통 전용지구를 조성한다고 밝혔다. 시는 국비가 확보되는대로 빠르면 내년부터 현재 왕복 4차선인 차로를 왕복 2차선으로 줄이고, 대신 보행환경 개선을 위해 양측 보도 폭을 4m에서 7m로 확장할 방침이다.
하지만 인근 남부시장 상인들은 도심 교통난 해소와 환경오염 개선 취지에는 동감하지만 일반 차량통행을 제한할 경우 침체된 구도심 상권에 치명타가 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하현수 전주 남부시장 상인연합회장은 2일 “전통시장의 경우 일반차량을 이용해서 찾아오는 사람이 많다”면서 “차량 통행이 제한되면 전통시장을 찾는 사람들이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하 회장은 “시장 상인 대부분이 대중교통 전용지구 조성에 반대하고 있다”며 “대체·우회도로 조성이나 주차장 확보와 같은 대안이 우선적으로 제시돼야 한다”고 밝혔다.
대중교통 전용지구 구간의 일반차량 통제 및 신호체계 개선을 맡는 경찰도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전북지방경찰청 관계자는 “아직 전주시와 구체적으로 협의된 사항은 없다”면서 “해당 사업구간은 시간당 최대 3600여대의 차량이 통행하는 만큼 대체·우회도로가 조성되지 않는다면 오히려 교통난만 가중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교통전문가들은 대중교통 전용지구를 운영하고 있는 다른 자치단체의 예를 들어 해당 사업을 원활하게 추진하기 위한 필요조건으로 주변 상인들의 반발을 최소화하기 위한 청사진 제시를 꼽았다.
실제 부산 동천로의 경우 주변 상인들의 반발로 사업추진이 유보되거나 지연돼 계획단계부터 개통까지 5년이 걸렸다.
또한 경찰 등 유관기관과의 협조체계 구축도 선행과제로 제시됐다.
전북발전연구원 김상엽 부연구위원은 “대중교통 전용지구가 조성되면 보행자 증가로 인해 침체된 구도심이 활력을 얻게 되고 인근 상가의 매출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면서도 “인근 상인들과 경찰 측에서는 매출 감소와 교통대란을 우려해 부정적인 입장을 취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부연구위원은 “전주시는 상가 매출 향상과 도심 교통난 해소 등 긍정적인 효과를 널리 알리고 경찰 등 유관기관과의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전주시 관계자는 “올 하반기 시범운영을 통해 문제점이 드러나면 개선책 마련을 위해 상인·경찰 등과 긴밀히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