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죄기'로 5~7월 전년대비 매매 14.9% 감소
전북지역 주택 매매거래량이 지난 5월 주택담보대출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이 전국으로 확대 시행된 후 3개월 간 전년대비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은 담보능력 심사 위주였던 은행권 대출심사를 소득에 따른 상환능력 심사로 바꾸는 것과 주택구입자금을 위한 대출은 원칙적으로 처음부터 원리금을 나눠 갚는 방식(비거치식 분할상환)만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다. 올해 2월 수도권을 시작으로 5월에 전국으로 확대돼 시행에 들어갔다.
부동산114(www.r114.com)가 국토교통부 주택거래량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이 전국으로 확대된 2016년 5월부터 7월까지 3개월 사이 지방의 주택매매거래량은 총 11만8486건으로 전년동기(15만7635건) 대비 24.8% 감소했다.
반면 수도권은 올해 5월부터 7월까지의 누적 거래량이 15만8970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7만3295건)에 비해 8.3% 감소하는데 그쳐 대조를 보였다.
전북의 경우 지난 5∼7월까지 주택 매매 누적 거래량이 7973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9364건과 비교해 주택 매매 거래량이 14.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대구가 무려 54.6%(1만6991건→7717건)나 급감했고 울산이 40.9%(8959건→5,292건), 충남이 34.3%(1만1553건→7592건)로 30% 이상 큰 폭으로 감소했다.
이처럼 전북을 비롯한 지방의 주택 매매거래 위축이 두드러진 것은 입주물량 증가와 올 들어 집값이 약세로 돌아선 가운데 대출 규제까지 가세하면서 주택시장이 활력을 잃었기 때문이다.
전북(혁신도시·만성지구·에코시티 등)을 비롯한 지방의 주택시장은 최근 2~3년간 공급이 크게 늘어 기초체력이 약화된 상황에서 대출규제까지 겹치며 분위기가 더욱 가라앉고 있다.
전주지역 공인중개사사무소 관계자는 “수도권의 경우 청약 호조와 고분양가 행진으로 여신심사 가이드라인 시행에 따른 회복이 빨랐지만 전북은 호재가 없는데다 입주물량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등 공급 부담이 커지면서 주택경기 침체가 불가피할 전망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