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무면제·유예 가장 많아
소비자가 제휴카드 할인이나 캐시백 같은 신용카드 부가서비스를 제대로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소비자원은 2014년 1월부터 2016년 9월까지 접수된 신용카드 피해구제 건수총 263건 중 부가서비스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거나 설명해주지 않는 부가서비스 관련 피해가 83건(31.6%)으로 가장 많았다고 18일 밝혔다.
그 뒤를 쓰지 않은 대금을 청구하거나 과도하게 청구하는 등의 ‘부당한 대금 청구’(54건, 20.5%)가 이었다. 부가서비스 관련 피해 83건 중에는 채무면제·유예, 제휴할인, 캐시백, 적립, 리볼빙 등의 신용카드 부가서비스를 카드사가 이행하지 않아 발생한 피해가 57건으로 가장 많았다.
채무면제·유예 상품은 카드사가 회원으로부터 일정액의 수수료를 받고 회원이 사망·질병 등 사고를 당했을 때 카드 채무를 면제하거나 결제를 유예해주는 상품이고 리볼빙은 신용카드 대금 중 일부만 결제하면 나머지는 다음 달로 이월되고 이월대금에 대해 수수료가 부과되는 결제 방식이다.
부가서비스 종류별로 보면 채무면제·유예상품 관련 피해가 39.8%(33건)로 가장많았고 그 다음은 제휴할인·적립·캐시백 관련(37.3%, 31건), 리볼빙 관련(13.3%, 11건) 등의 순이었다.
이 외에도 정당한 이유 없이 소비자의 청약 철회를 수용하지 않거나 카드를 분실·도난당했을 때 보상비율이 미흡해 소비자가 불만을 제기한 경우도 있었다고 소비자원은 설명했다.
한편, 피해구제 접수 중 금융감독원에 중복으로 접수된 건과 당사자가 연락 두절된 경우를 제외한 264건 중 배상·보상·환급 등 합의가 이뤄진 경우는 65.0%(160건)였다.
소비자원은 “필요하지 않은 부가서비스 가입 권유는 명확히 거절하고 카드 청구서를 꼼꼼히 살펴 가입하지 않은 부가서비스나 대금이 청구된 것은 없는지 확인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