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6 07:04 (Thu)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사회 chevron_right 사회일반
일반기사

[새해특집] '전북미래 인적자원 절실' 아기 울음소리·청년 웃음소리 잦아드는 전북

전북 아기울음소리 1만명 선 붕괴 초읽기
산부인과 의사도 없어, 타 지역 원정출산도
청년유출 증가, 구인·구직난 등 악순환 반복
국회의원 수 감소, 행정기구 축소 등 우려

/전북지역 연도별 출생아 수·합계 출산율
/전북지역 연도별 출생아 수·합계 출산율

‘저출산’, ‘청년인구 유출’, ‘지방소멸’ 등은 전북의 코앞에 닥친 현실이다. 매년 아기울음소리가 줄어들고, 청년들은 전북을 떠나고 있다. 전북의 미래 인적자원이 줄어들다보니 전북은 지방소멸까지 걱정해야 하는 지경이다. 이런 현상에 경제침체도 장기화되고 있다. 이뿐만이 아니다. 인구는 그 도시의 규모를 결정짓는 중요한 잣대로 활용된다. 하지만 이러한 현상이 더욱 지속될 경우 국회의원 수 감소, 국비 보조금 감소, 공무원 수 감소 등 다양한 혜택과 도시 기능이 후퇴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내부적으론 지역의 빈집 증가, 농어촌 학교 통폐합, 도시와의 소득 격차, 문화·교육 시설 등의 낙후와 취업 및 의료시설 부족까지 악순환이 반복된다. /편집자주

 

출생아 수

1만명 선 붕괴 초읽기

2018년 전북에서 태어난 출생아 수가 간신히 1만명을 넘기는 등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특히 무주와 장수는 지난해 100명도 안되는 신생아 울음소리가 들리는 등 시·군 간 격차도 더욱 벌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통계청의 ‘2018년 출생 통계’ 에 따르면 2018년 전북의 출생아 수는 1만1명으로 1만명 선에 턱걸이했다. 2017년 1만1348명보다 1347명 줄어든 수다.

전북의 출생아수는 2012년 1만6000명을 웃돌았지만 2013년 1만4555명으로 감소한 뒤 2014년 1만4231명, 2015년 1만4087명으로 3년 간 1만4000명 수준을 유지했다. 하지만 2016년 1만 2698명을 기록한 후 급격하게 출생아 수가 줄어들었다. 이 상태로라면 출생아 1만명 선이 무너질 것으로 예상된다.

여성 1명이 가임 기간(15~49세)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도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2012년 1.440명을 기록하던 합계출산율은 2013년 1.320명, 2014년 1.329명, 2015년 1.352명, 2016년 1.251명, 2017년 1.151명, 2018년 1.044명으로 떨어졌다. 이 추세라면 전북도 평생 낳는 아이의 수가 1명도 안되는 초저출산지역으로 될 가능성이 높다.

도내 14개 시·군 간 출생아 격차도 심각했다. 특히 무주와 장수는 한해 출생아가 100명도 안됐다.

2018년 전주시는 출생아 3827명으로 전북에 가장 많은 출생아 수를 기록했다. 이어 익산시 1597명, 군산시 1529명 등으로 1000명 이상이 새로 태어났다. 다음으로 완주군 561명, 정읍시 527명, 남원시 450명, 김제시 353명, 고창군 244명, 순창군 216명, 부안군 215명, 진안군 160명, 임실군 156명 순이었다. 무주와 장수는 각각 79명, 87명으로 100명 미만의 출생아 수를 보였다.

 

출산 인프라도

최악

2013년 전북의 분만기관수는 37곳이었지만 2014년 3곳이 줄어든 34곳, 2015년 33곳, 2016·2017년 32곳, 2018년에는 4곳이 더 줄어든 28곳으로 전북의 출산 인프라가 급격히 무너지고 있다.

때문에 아이를 낳고 싶은 농촌지역의 산모들은 도시지역에서 출산을 하는 ‘원정출산’ 현상으로 이어지고 있다.

전북의 2017년 부모주소 기준 출생아 수는 1만 1300명이며 의료기관 기준 분만 수는 1만 1200명으로 지역출생아 수보다 의료기관 분만 수가 100명 적었다. 2018년에는 1만명과 9858명으로 142명이 적었다.

출산율이 떨어지자 운영이 힘들어진 산부인과는 분만실 운영을 포기하고, 수익이 안되다 보니 몇 년째 주요병원에서 산부인과 레지던트가 미달사태를 겪고 있다. 아이 낳을 곳이 부족한 여성들은 출산을 망설이거나 장거리 원정 출산까지 감수하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양질의 일자리 떠나는

청년들

청년들이 전북에 등을 돌리고 있다. ‘탈전북’현상의 일환으로 초고령화 사회를 목전에 둔 전북에서 지역경제의 주축이 될 일꾼들이 타지역으로 이탈하고 있는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전북지역은 2632명이 타지역으로 유출된 것으로 집계됐다.

연령대로는 20대가 2156명으로 가장 많이 유출됐고, 30대 586명, 10대 337명 순으로 현재 및 미래 인적자원들이 전북을 떠났다.

시군별로는 익산 981명이 타지역으로 떠났으며, 군산 532명, 완주군 425명이 유출됐다.

매년 전북에서 유출된 청년 인구는 약 1만 여명 안팎으로 집계되고 있으며, 특히 20대가 타 지역으로 빠져나가는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어 책마련이 시급하다.

아이울음소리는 줄고, 청년들이 떠나다보니 전북은 지역소멸을 걱정해야할 처지다.

한국고용정보원의 ‘한국의 지방소멸 2018’보고서는 전북 14개 시·군 중 소멸위험 지역으로 10곳의 시군을 지목했다.

소멸위험 지수는 인구 감소로 지역사회 공동체가 붕괴돼 사라질 가능성을 수치화 한 것으로, 특정 지역에 사는 20~39세 사이 가임여성 수를 65세 이상 고령자 수로 나눈 값을 말한다.

전북은 0.58을 기록해 소멸 위험성이 가장 높은 지방 중 하나로 지목됐다.

시군별로 보면 ‘소멸위험 주의단계’로는 전주(0.988), 군산(0.678), 익산(0.672), 완주(0.509)가 지목됐다. 특히 임실군(0.225)과 무주군(0.231), 장수(0.234), 진안(0.236), 고창(0.242), 부안(0.259), 순창(0.263) 등은 최악인 소멸 고위험 단계에 가까워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국회의원 수 감소에

행정기구 축소 우려

인구가 줄어들 경우 곧 바로 정치, 행정에 영향을 끼친다. 가장 먼저 행정기구가 축소된다. 더불어 전북의 국회의원 수가 감소하고, 국비 보조금 등 예산 감소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행정서비스 저하와 지역 발전 낙후 등 전북은 쇠퇴의 길로 접어든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이 있을까. 전문가들은 지자체의 출산독려 예산 및 정책의 확충, 양질의 공기업 유치, 지역인재 할당제의 확대 도입, 지역의 경쟁력을 강화해야한다고 조언한다.

김경아 전북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는 그 중에서도 △전북의 미래세대를 위한 산업의 방향성 확보 △양질의 공기업 유치 △지역인재할당제 광역권으로 확대 등을 제시했다.

김 교수는 “전북은 군산을 통해 LNG 가스 중심의 대안, 전기자동차의 특장차를 연결시키는 메카를 만들기 위해 전기자동차 분야를 특화시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면서 “새만금 태양광을 기반한 블록체인 에너지 전자화폐 등 시장을 선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최대한 양질의 공기업. 그중에서도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 수 있는 기업을 분석과 예측을 통해 유치해야 한다”면서 “이와 함께 전남 등 특정지역에 치중되어 있는 지역인재할당제를 전남 혁신도시와 전북혁신도시를 아우르는 지역산업 협력네트워크 체제를 구축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사회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