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코로나 추가 확진자 발생·대구 확진자 지속 유입
도내 최대 67개 병실 운영 계획, 확진자 늘면 부족
정부 대안으로 제시한 생활치료센터 선정 조건 까다로워
탁상행정 지적 속, 전북도 “구축 속도 높이겠다” 설명
정부가 생활치료센터 확보를 통해 코로나19 경증환자를 치료한다고 밝혔지만 센터 지정조건이 까다로워 확보에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전망이다.
정부는 2일 경증 확진환자가 생활치료센터에 입소할 수 있도록 시설을 단계적으로 확대해 경증환자의 갑작스러운 상태 악화를 방지하고 안전하게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는 “센터 확보는 외부와 차단이 확실하고 지역사회와 격리된 적절한 장소가 필요하다”며 “또 그 안에서 생활을 해야 하기 때문에 머무시는 분들의 식사와 쓰레기 처리 등 생활 조건과 위생 처리 등에 대해서도 충족해야 하고 또 관리 인력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러한 조건들을 충족시키는 시설을 찾는 것이 간단하지 않고 확정된 경우에는 현지답사를 통해 거기서 소요되는 기본적인 물품, 배치해야 될 인력 특히 배후 의료기관 역할을 할 수 있는 대학병원급 이상의 기관과 연계가 필요하다”며 “그런 역할을 할 수 있는 의사와 역량이 되는지도 확인을 해야 되기 때문에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된다”고 덧붙였다.
전북도는 정부 방침에 따라 무증상·경증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생활치료센터를 지정, 운영할 수 있는 시설 확보에 나섰다.
그러나 센터 지정을 위해 선행되어야 할 조건이 까다로워 조속한 센터 확보가 어려울 전망이다.
특히 지금과 같이 코로나19 전파 확산 속도가 빠르고 타 지역 확진자들이 유입되면 이런 상황은 더욱 심각해 질 것으로 우려된다.
이런 정부의 경증환자 진료 대책에 차질이 우려되면서 전북도가 준비한 격리병실 67실도 조만간 부족 현상을 빚게 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이에 대해 전북도는 “현재 협의의료기관으로 될 전북대병원과 원광대병원에 원활한 협조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며 “장소 선정과 관련해 시군과 의견을 나누고 있으며 조속히 센터를 선정해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