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정치권 전주완주지역 주요 쟁점으로
위기 극복과 미래상용차 산업 계획 빠른 집행 요구돼
김성주·정동영 등 정치권도 위기돌파 마련 전략 나서
전북 제조업계를 지탱하고 있는 현대자동차 전주공장의 위기론이 4.15 총선의 주요 쟁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중단과 한국지엠 군산공장 폐쇄, 익산 넥솔론 부도, OCI군산공장 가동중단에 이어 현대차 전주공장마저 흔들릴 경우 정치적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다.
19일 민주노총 금속노조 현대자동차 전주위원회가 주도한 기자회견에는 더불어민주당 안호영 의원(완주무주진안장수)과 민생당 정동영 의원(전주병), 정의당 염경석 후보(전주갑)가 참석했다. 이들은 모두 4.15 총선 후보다.
민주당 김성주 예비후보는 현대차 전주공장 위기론과 관련해‘현대차 전주공장 발전을 위한 노사정관 협의회 구성’을 제안했다.
김 의원은 “21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면 즉시 전북경제의 중심축인 현대차 전주공장의 발전과 안정적 생산을 돕기 위해 탄소 및 수소산업과 연계한 노사정관 협의체 구성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같은 지역구에서 맞붙게 될 민생당 정동영 의원도 전북경제 생존을 위해 현대차 CEO인 정의선 부회장의 방문 및 면담을 추진하겠다고 공언했다.
민주당 안호영 의원 역시 현대자동차 전주공장의 픽업트럭 생산을 사측과 정부에 강력히 요청하겠다고 했다.
이날 현대차 전주공장 노조는 전주공장의 위기 극복과 미래상용차 산업의 계획 빠른 추진 및 집행을 위한 정치인들의 협치를 강조했다.
노조는 이날 “기아자동차 광주공장의 경우 IMF사태가 촉발될 당시 매각위기를 맞았으나 지역정치권과 지자체가 앞장서 문제를 해결한 대표적 사례다” 고 소개했다.
당시 기아차 광주공장은 6만대 생산능력을 가진 공장으로 광주전남 경제를 견인하는 역할을 했지만, 외환위기 사태로 회사가 부도를 맞을 위기에 처했다. 그러자 광주전남정치권이 본격 나서 현대가 기아차를 인수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특히 기아차 광주공장은 현대차와 합병한 이후 위기 극복은 물론, 기존 공장생산능력의 10배에 달하는 연간 60만대 생산능력을 보유한 SUV 전문공장으로 거듭났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