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노총 중심 전북민중행동, 송 지시와 면담 요구하며 난입 시도
청원경찰·직원들 입구 막아서며 대치, 격한 몸싸움
폭력사태로 번질 위험성 많아, 직원들 공포감 호소
민주노총 전북본부가 주축이 된 전북민중행동이 송하진 도지사와의 면담을 요구하며 전북도와 대치하는 가운데 양측 간 갈등이 자칫 폭력사태로 번질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가뜩이나 코로나19로 사회가 혼란한 상황에서 다수의 인원이 모이는 시위와 양측 간 과격한 대치가 부적절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27일 민노총과 도내 시민단체 관계자들은 도청 정문에서 오전 11시 30분께 기자회견을 진행한 후 도지사실로 난입을 시도했다. 이들은 지난 24일부터 송 지사와의 만남을 요청했지만 무산된 후 더욱 강경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전북도는 도지사실 점거와 도청 내부농성을 막기 위해 이들의 출입을 불허했다. 특히 코로나19로 단 한 개의 입구만 개방됐던 전북도청은 이날 모든 출입구가 사실상 봉쇄됐다.
낮 12시 점심시간이 다가오자 전북도와 단체의 갈등은 최고조에 달했다. 단체 측은 봉쇄된 입구를 뚫기 위해 돌진했고, 도 청원경찰과 공무원들은 이들을 몸으로 막아냈다.
이 과정에서 원색적인 욕설과 고성이 난무했으며 입구를 막던 청원경찰 및 공무원들과 민노총 및 시민단체 관계자들 간에 격한 몸싸움이 지속됐다. 도청 내부에 있던 직원들은 졸지에 ‘갇힌 신세’가 돼 점심도 먹지 못한채 발만 동동 굴렀다. 과격한 분위기에 공포감을 호소하는 직원들도 많았다.
같은 시각 청사밖에서는 단체가 입구를 막는 청원경찰을 끌어내리는 과정에서 멱살잡이 모습 등이 목격되자 시위를 주도하던 관계자는 “폭력을 자제해야한다”고 촉구했다. 그러나 격한 분위기는 오히려 더 고조됐다. 민원이나 공무로 도청을 찾은 시민들은 발길을 돌릴 수밖에 없었으며, 이날 예정됐던 코로나19 성금 전달 등 도청 내 공식행사도 모두 취소됐다.
한바탕 폭풍이 지나갔지만, 도청은 아수라장이 됐다. 도청직원 대부분 정상업무를 보기 힘들 정도로 마비상태를 방불케 했다.
이번 사태가 촉발된 원인은 표면상으로 전북민중행동이 코로나19에 따른 고용위기에 대한 정책 제안을 위한 만남을 요구했는데 이것이 불발된 데 따른 것이다. 하지만 실제는 민노총 공공운수 노조의 단일교섭권 인정 여부가 핵심이다. 전북도는 현행법 상 다수노조를 통한 단일 교섭권을 인정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민노총 소속 청소 및 시설관리 노동자들의 강한 반발이 이어져왔다.
도는 복수교섭이 이뤄질 경우 동일한 노동·동일한 조건에 각기 다른 처우가 발생하며, 더 큰 혼란이 야기된다는 입장이다. 민노총 전북본부와 민중행동은 이에 반발 강경한 투쟁을 예고했다.
전북민중행동은“송 지사와 면담하는 날까지 도청을 찾아올 것” 이라며 “도가 단체 대표들을 강제로 끌어내는 등 충돌과 폭력을 유도하고 있다” 고 주장했다.
반면 전북도는 “우리는 불법점거농성을 막기 위해 아무런 폭력없이 육탄방어를 하는 상황인데, 되레 도가 폭력을 야기했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오히려 청원경찰과 공무원들이 극도로 겁에 질렸음에도 가까스로 버티고 있다. 여기에 거센 항의가 두려워 공무원은 물론 시민들과 언론까지 가급적 모른 척 하는 상황” 이라고 했다. 이어 “노조와 단체가 과격한 모습을 지양하고, 신사적으로 행동했다면 도청 출입구를 봉쇄하는 최악의 상황이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다” 고 반박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